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673

(얼레빗 3614호)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건물 “우일선 선교사 집”

한국문화편지 3614호 (2017년 08월 01일 발행)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건물 “우일선 선교…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1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47번길 20 (양림동)에는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된 “우일선 선교사 집”이 있습니다. 이 건물은 미국 ..

(얼레빗 3613) 한 줄기 긴 하늘이 골짜기에서 뿜어 나오네

한국문화편지 3617호 (2017년 07월 30일 발행) 한 줄기 긴 하늘이 골짜기에서 뿜어 나오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1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一派長天噴壑礱 한 줄기 긴 하늘이 골짜기에서 뿜어 나와 龍湫百仞水潨潨 폭포수 백 길 물이 쏟아져 나오네 飛泉倒瀉疑銀漢 ..

(얼레빗 3611) 여름나기용 옷감, 삼베와 모시는 어떻게 다를까?

한국문화편지 3611호 (2017년 07월 27일 발행) 여름나기용 옷감, 삼베와 모시는 어떻게 다를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1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날 어머니들은 여름이 다가오면 삼베에 빳빳하게 풀을 먹인 뒤 정성스레 다듬이질해 이불 홑청과 베갯잇을 바느질했습니다. 습하고 ..

(얼레빗 3610) 과학적인 설계로 장중한 소리를 들려주는 한국의 종

한국문화편지 3610호 (2017년 07월 26일 발행) 과학적인 설계로 장중한 소리를 들려주는 한국…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1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소리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영화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서양 교회당의 가벼운 종소리와..

(얼레빗 3609호) 임진왜란 때 승전기록이 담긴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한국문화편지 3609호 (2017년 07월 25일 발행) 임진왜란 때 승전기록이 담긴 “최희량 임란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전남 나주의 국립나주박물관에는 보물 제660호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가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최희..

(얼레빗 3608호) 오늘은 조문기 지사가 부민관에 폭탄 던진 날

한국문화편지 3608호 (2017년 07월 24일 발행) 오늘은 조문기 지사가 부민관에 폭탄 던진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이 땅의 독립운동가에게는 세 가지 죄가 있다. 통일을 위해 목숨을 걸지 못한 것이 첫 번째요. 친일 청산을 하지 못한 것이 두 번째요. 그..

(얼레빗 3607호) 여름을 화사하게 수놓는 들꽃 "꼬리조팝나무"

한국문화편지 3607호 (2017년 07월 21일 발행) 여름을 화사하게 수놓는 들꽃 "꼬리조팝나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봄에 우리는 잎보다 먼저 귀엽고 사랑스러운 흰꽃을 피우는 조팝나무를 보았습니다. 이제 여름이 되면 화사한 분홍빛으로 아름다운 꼬리조..

(얼레빗 3606호) 우리나라 초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안향 영정>

한국문화편지 3606호 (2017년 07월 20일 발행) 우리나라 초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lt;안향 영…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 그림의 종류를 보면 산수화, 사군자, 초상화, 풍속화, 영모ㆍ화조화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 가운데 초상화는 국보로 지정된 것이..

(얼레빗 3605호) 일제강점기(1930년대) 해수욕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한국문화편지 3605호 (2017년 07월 19일 발행) 일제강점기(1930년대) 해수욕복은 어떤 모습…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5]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관련업계에 따르면 G마켓에서는 최근 일주일 동안(6월29일~7월5일) 비키니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215%) 증가했다. 지난 6일 G마켓 ..

(얼레빗 3604호) 큰 바위 4면에 부처를 새긴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한국문화편지 3604호 (2017년 07월 18일 발행) 큰 바위 4면에 부처를 새긴 “굴불사지 석조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0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굴불사터에는 높이 약 3.5m의 보물 제121호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