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108

(얼레빗 제5038호) 성균관 유생들, 성균관 대사성 파직시켜

“성균관에서 아뢰기를, ‘재유(齋儒, 성균관에서 숙식하면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권당(捲堂, 성균관 유생들의 집단시위)하고 말하기를, ‘대사성 윤명규(尹命圭)는 (가운데 ᄌᆕᆯ임) 그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라고 하였습니다.‘라고 하니, 하교하기를, ’잘 살피지 못하여 또 이런 욕된 일이 있었다. 비록 이 일은 생각이 미치지 못한 탓이겠으나, 이미 나에게까지 알려진 이상 그냥 있을 수만은 없으니, 대사성은 파직하고 여러 유생은 들어가도록 권하라.‘라고 하였다.” 이는 《순조실록》 32권, 순조 31년(1831) 12월 14일 기록입니다. 조선시대 으뜸 교육기관인 성균관에서 숙식하면서 공부하던 유생들은 국가의 정책이나 당시의 시급한 일에 대한 자신들의 집단의사 표시로서 우선 편전 앞에서 '아이고상소'를 했습..

고열터널 속 조선인의 뼈ㆍ살을 갈아 넣은 공사

(1) 왜 조선인이 위험한 구로3댐에서 일하게 되었나? 1910년 한일강제합방 이후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해 조선인의 90%인 농민은, 소작농이거나 토지가 있어도 소작농과 다름없는 사람이 77%가 되었다. 여기에 1920년대 ‘산미증산계획 사업’으로 생산되는 쌀의 60%(891만 석)를 일본에 수탈당해서(노형석 《한국근대사의 풍경》, 266쪽) 1인당 미곡 소비량이 1912~1916년 평균 0.7188석이었던 것이 1932~1936에는 평균 0.4017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채호기 《일제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297쪽) 이렇게 쌀을 수탈당하고 완전히 몰락한 농민은 농촌을 떠나 좋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유랑하다가 임금이 높다는 일본의 구로베(黒部)로 모여들었다. 조선인 노동자는 일본의 전시..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6 – ‘뜬금없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뜬금없다'를 찾으면 "갑작스럽고도 엉뚱 하다."라고만 풀이해 놓았다. 그게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속이 후련하지는 않다. 어째서 속이 후련하지 않을까? '뜬금'이 무엇인지 알려 주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 싶다. 뜬금을 알자면 먼저 '금'을 알아야 한다. 우리 토박이말 '금'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금'은 '값'과 더불어 쓰이는 것이다. '값'은 알다시피 남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돈이며,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건네주고 받아 내는 돈이기도 하다. 값을 받고 물건을 팔거나 값을 치르고 물건을 사거나 하는 노릇을 '장사'라 하는데, 팔고 사는 노릇이 잦아 지면서 때와 곳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모여서 팔고 샀다. 그때가 '장난'이고, 그곳이 '..

(얼레빗 제5037호) 슬기말틀에 빠져 책을 외면하는 세태

전철을 탔습니다. 그런데 내가 앉은 건너편 의자에 앉은 사람 7명 모두가 슬기말틀(스마트폰)에 푹 빠져 있습니다. 한 사람은 통화를 하고 있고, 한쪽 끝의 나이 지긋한 어르신조차도 슬기말틀을 들여다보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특히 그렇게 슬기말틀에 빠진 사람들이 대부분이 드라마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것입니다. 길에 나가면 심지어 사람들이 횡단보도를 건너면서 슬기말틀을 들여다보고 있어서 보는 내가 아찔합니다. ▲ 전철에서 탄 사람들이 슬기말틀에 빠져 정신이 없다. 슬기말틀이 나타나면서 슬기말틀은 출판시장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합니다. 백 그램밖에 안 되는 조그마한 녀석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영상과 뉴스, 메시지를 보느라 대한민국 성인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은 책 한 권도 읽지 않는 삶을 산다고 하지요. 책을 ..

(얼레빗 제5036호) 대한민국임시정부, 일본에 선전포고하다

내일은 83년 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대일 선전포고‘한 날입니다. 일제가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김구 주석과 조소앙 외무부장 명의로 ‘대일선전성명서(對日宣戰聲明書)’를 발표하여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드러냈고, 한국광복군은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습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41년 12월 10일 발표한 대일 선전포고문(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성명서는 한국 전체 인민은 현재 이미 반침략 전선에 참가하여 1개 전투 단위가 되어 있으며 축심국(軸心國, 일본 등)에 대하여 선전한다"라며 "왜구를 한국과 중국 및 서태평양에서 완전 구축(驅逐·몰아서 쫓아냄)하기 위하여 최후 승리까지 혈전한다"라고 선언했지요..

(얼레빗 제5035호) 맑은 물을 담아두는 ‘물가풍경무늬 정병’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국보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이 있습니다. 정병은 맑은 물을 담아두는 병으로, 원래 승려가 지녀야 할 열여덟 가지 물건 가운데 하나였으나 점차 불전에 바치는 깨끗한 물을 담는 그릇으로 쓰였습니다. 또 불교의식을 할 때 쇄수게(灑水偈, 관음보살을 찬탄하는 소리)를 행하면서 의식을 이끄는 승려가 솔가지로 감로수를 뿌림으로써 모든 마귀와 번뇌를 물리치도록 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 ▲ 고려시대인 12세기에 만들어진 국보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 높이 37.5 cm 정병은 주로 물가의 풍경을 담아냈는데, 언덕 위로 길게 늘어진 버드나무 또는 물 위로 노를 저어가는 어부와 낚시꾼 등이 마치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합니다. 이 모든 풍광이 표면에 홈을 파서 은선을 두드려 박는 은..

암반온도가 200도, 터널공사에 강제동원 조선인

지난번에는 조선인들이 혹독한 노동을 한 구로베댐을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번에는 조선인들이 일했던 구로베댐 공사의 노동환경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알아보겠다. 일본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구로베댐(구로4댐, 1958~1963)은 구로3댐(1936~1940)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구로3댐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이 중국 대륙으로 전선을 확대하게 되면서 군수품 생산을 위한 전력이 시급했기 때문에 추진되었다.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소기 때문에 게야키다이라(欅平)에서 센닝다니(仙人谷)까지 약 6km의 수로터널과 궤도터널을 뚫어야 했다. 그 가운데 아조하라다니(阿曾原谷)에서 센닝다니(仙人谷)까지 742m 구간은 암반 온도 최고 200도가 넘는 고열터널이고, 유황 냄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