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전문 (11) - 21. 줄임표 21.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빨리 말해!” “…….” (3)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예)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7
문장 부호 전문 (10) - 18. 드러냄표와 밑줄, 19. 숨김표, 20. 빠짐표 18. 드러냄표( ˙ )와 밑줄(_)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예) 한글의 본디 이름은 이다. (예) 중요한 것은 가 아니라 이다. (예)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예)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아닌 것은? [붙임] 드러냄표..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6
문장 부호 전문 (9) - 15. 줄표, 16. 붙임표, 17. 물결표 15. 줄표(―)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쓴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 ―’이다. (예) ‘환경 보호 ― 숲 가꾸기 ―’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 다만, 뒤에 오는 줄표는 생략할 수 있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5
문장 부호 전문 (8) - 13. 겹낫표와 겹화살괄호, 14. 홑낫표와 홑화살괄호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4
문장 부호 전문 (7) - 11. 중괄호, 12, 대괄호 11.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예) 아이들이 모두 학교 {에, 로, 까지} 갔어요. 12. 대괄호([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3
문장 부호 전문 (6) - 10. 소괄호 10. 소괄호( ( )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예)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예) 2014. 12. 19.(금) (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2
문장 부호 전문 (5) - 7. 빗금, 8. 큰따옴표, 9. 작은따옴표 7. 빗금(/)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예) 100미터/초 (예) 1,000원/개 (3)..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1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0
문장 부호 전문 (2) - 2. 물음표, 3. 느낌표 2. 물음표(?)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예) 점심 먹었어? (예) 이번에 가시면 언제 돌아오세요? (예) 제가 부모님 말씀을 따르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 (예) 남북이 통일되면 얼마나 좋을까? (예) 다섯 살짜리 꼬마가 이 멀고 험한 곳까지 혼자 왔다? (예) 지금? (예)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9
문장 부호 전문 (1) - 1. 마침표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문장 부호의 이름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마침표(.)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