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58

(얼레빗 4676호) ‘남대문’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니다

“지금의 남대문은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이 숭례문을 남대문으로 바꾼 이름이다. 숭례문의 ‘례’의 뜻은 ‘예의’라는 뜻이다. 일본은 식민지였던 우리나라를 당연히 낮춰부르고 싶었을 것이다. 숭례문은 일본인들이 남대문으로 강제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일본은 우리나라를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 성문의 이름을 바꿔버린 것이다.” 한 블로그에 있는 글입니다. 사실일까요? 하지만 “남대문”이란 말은 일제가 붙인 이름이 아닙니다. ▲ “정남(正南)은 숭례문(崇禮門)이니 속칭 남대문”이라고 기록된 《태조실록》 5년(1396) 9월 24 내용(오른쪽), 선조가 유성룡에게 묻는 “경성(京城) 사람인가”라고 묻는 《선조실록》 30년(1597년) 1월 27일 기록 “정북(正北)은 숙청문(肅淸門), 동북(東北)은 홍화문(弘化門)이니..

(얼레빗 4672호) 현대식 정화조 닮은 경복궁 화장실 유구 발굴

지난 7월 8일 문화재청은 경복궁 동궁의 남쪽 지역에서 현대 정화조와 비슷한 시설을 갖춘 대형 화장실 유구(遺構)가 확인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한 경복궁 화장실은 왕세자가 거처했던 동궁과 관련된 하급 벼슬아치와 궁녀, 궁궐을 지키는 군인들이 주로 이용하였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문헌자료에 따르면 화장실의 규모는 4∼5칸인데, 한 번에 많게는 10명이 썼을 수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발굴조사 끝난 뒤의 경복궁 화장실 유구 전경 이번에 발굴된 화장실의 구조는 길이 10.4m, 너비 1.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로 된 구덩이 형태로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入水口) 1개와 물이 나가는 출수구(出水口) 2개가 있습니다. 유입된 물은 화장실에 있는 분변과..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조선 시대 왕실의 어린이 복식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모두 9건)’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는 복식 유물은 1998년 숙명여자대학교가 기증받은 조선 시대 왕실의 어린이 옷(모두 9건)으로, 영친왕비인 이방자 여사가 보관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李垠, 1897~1970)의 옷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는데, 옷의 주인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고 옷의 크기로 미루어 볼 때 실제 영친왕이 입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은 조선 시대 왕가 어린이가 입었던 옷에서 볼 수 있는 주요한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기에 문화재..

(얼레빗 4643호) 키가 180cm인 삼국시대 사람뼈 출토

문화재청은 지난 7월 15일 한국문화재재단이 조사 중인 경주 ‘탑동유적’ 현장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사람뼈 가운데 키가 180cm인 남성 뼈가 확인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삼국시대 무덤에서 조사된 남성 사람뼈의 평균 키 165cm를 훨씬 넘는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피장자 가운데 가장 큰 것입니다. 보존상태 역시 거의 완벽하다고 합니다. ▲ 경주 탑동유적 덧널무덤 2호 출토 사람뼈 그뿐만 아니라 조사 현장에서 긴급히 이루어진 형질인류학적 조사를 통해, 해당 피장자가 척추 변형 곧 비정상적으로 척주가 활처럼 굽었음이 확인되어 눈길을 끕니다. 앞으로 정밀한 고고학적 조사와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피장자가 당시 어떠한 육체적 일을 하였는지와 직업군을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

(얼레빗 4640호)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국보 돼

지난 6월 23일 문화재청은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불삼신불좌상’을 국보 제336호로 지정했습니다. 국보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불교조각 가운데 ‘삼신불(三身佛)’로 구성된 유일한 작품으로 조선시대 불교사상과 미술사 연구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아 왔습니다. 화엄사 대웅전에 모신 3구의 좌상은 1635년(인조 13년) 당대 유명한 조각승인 청헌(淸軒 또는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만든 17세기의 대표적인 불교조각입니다. ▲ 국보 제336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불삼신불좌상’(문화재청 제공) 모두 3미터가 넘는 초대형 불상이라 보는 이로 하여금 압도적인 느낌을 줍니다. 특히, 삼신불의 복장유물 등 관련 기록이 ..

(얼레빗 4638호)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계룡산 중악단’

충남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에 가면 보물 제1293호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壇)’이 있는데 중악단은 나라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입니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라 때 5 큰산(오악-五嶽)의 하나로 제사를 지냈는데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上嶽)으로, 남쪽의 지리산을 하악(下嶽)으로, 중앙의 계룡산을 중악(中嶽)으로 하여 단을 모시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 보물 제1293호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壇)’(문화재청 제공)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1394)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1651)에 제단이 폐지되었지요. 그 뒤 고종 16년(1879)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얼레빗 4637호) 오백 년 역사를 가진 아름다운 조각보

“찹쌀로 밥을 짓고 미역으로 국을 끓였다 / 질그릇에 나물반찬을 담았으니 / 비록 박하지만 정성이 어려 있다 / 늙으신 어머니는 신(神)에게 절을 올려 기원하기를 / 아들의 수(壽)가 7~80살을 살게 해달라고 하였다(줄임) / 옛날 작은 몸으로 땅에 떨어졌을 때를 생각하면 / 빙설(氷雪)보다 맑고 구슬보다 밝았었다 / 잡으면 꺼질까 불면 날아갈까 하시며 / 보자기 속에 아이 키우던 그 정이 가련도 하다 / 해마다 운명(運命)과 관상(觀相)을 들먹이며 / 평탄하게 살다가 공명(功名)을 이룬다고 하였다.” ▲ 500년 된 합천 해인사 복장유물(보물 제1777호) 속의 보자기(문화재청 제공) 이는 한말의 학자이자 사상가인 해학 이기(李沂, 1848~1909)의 문집인 《해학유서(海鶴遺書)》에 나오는 시입니다..

(얼레빗 4625호) 국가무형문화재 새 종목된 ‘막걸리 빚기’

문화재청은 지난 15일 ‘막걸리 빚기’를 새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습니다. 이번 지정 대상은 막걸리를 빚는 작업은 물론이고, 다양한 생업과 의례, 경조사 활동 등에서 나누는 전통 생활관습까지를 포괄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쌀 막걸리는 쌀을 깨끗이 씻어 고두밥을 지어 식힌 뒤, 누룩과 물을 넣고 여러 날 동안 발효시켜 체에 거르는 과정을 통해 빚지요. 막걸리의 ‘막’은 ‘바로 지금’, ‘바로 그때’와 ‘걸리’는 ‘거르다’라는 뜻으로 그 이름이 순우리말일 뿐만 아니라 이름 자체에서도 술을 만드는 방식과 그 특징이 드러나 있습니다. ▲ 막걸리(사진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등 곡류로 빚기 때문에 삼국 시대 이전 농경이 이루어진 시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막걸리는 물과 쌀..

(얼레빗 4603호) 크기가 24m인 <이십공신회맹축> 국보 지정

문화재청은 지난 2월 18일 실물과 관련 기록이 완전하게 남아있고 24m에 달하는 큰 규모를 갖춘 조선왕실의 문서인 를 국보 제335호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는 1680년(숙종 6) 8월 30일 열린 왕실의 의식인 ‘회맹제(會盟祭)’를 를 기리기 위해 1694년(숙종 20) 녹훈도감(復勳都監)에서 제작한 왕실 문서지요. ▲ 국보 제335호 -위, 앞부분(가운데), 뒷부분 ‘회맹제’는 임금이 공신들과 함께 천지신명에게 지내는 제사를 지내는 행사입니다. 이 의식에는 왕실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이름인 ‘공신(功臣)’ 가운데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 보사공신(保社功臣, 1680년 4월 경신환국 때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칭호)에 이르는 역대 20종의 공신이 된 인물들과 그 자손들이 참..

(얼레빗 4600호)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 글씨를 썼던 목간

지난달 28일 문화재청은 대구 팔거산성(대구광역시 기념물)에서 7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 11점이 대구 지역에서 처음 출토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11점 가운데 7점에서 글자가 보이고, 그 가운데는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干支)와 곡식 이름도 등장합니다. 특히 보리를 뜻하는 맥(麦)과 벼를 이르는 도(稻), 콩 곧 대두(大豆)라는 곡식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는 당시 산성에 물자가 집중된 상황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산성의 행정 또는 군사기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 대구 팔거산성 목간 출토상태 목간(木簡)은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대나무로 된 죽간(竹簡)과 함께 글자를 기록하려고 썼던 목편(木片) 곧 나무 조각입니다.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처음 발견된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