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쿠라 불나방 6

(얼레빗 제4768호) 이완용에게 을사늑약을 종용했던 이인직

106년 전(1916년) 오늘은 소설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이 죽은 날입니다. 우리는 학창시절 이인직이 《혈(血)의 누(淚, 1906)》, 《귀(鬼)의 성(聲, 1908)》, 《치악산(雉岳山, 1908)》, 《은세계(銀世界, 1913)》 따위 신소설을 쓴 작가라는 말을 배웠습니다. 특히, 《혈(血)의 누(淚)》는 첫 장편소설로서 본격적인 신소설의 효시에 해당하는 작품이라고 배워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 소설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과 이인직의 신소설 《혈(血)의 누(淚)》 재판 표지(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그러나 이윤옥 시인의 시집 《사쿠라 불나방(도서출판 얼레빗, 2011》에 따르면 《혈(血)의 누(淚)》 작가 이인직이 일본 유학시절 스승인 미도리 교수에게 찾아가서 ..

(얼레빗 4467호) 매국노 이완용 뒤에는 작가 이인직이 있었다

1908년 오늘(11월 11일)은 소설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이 원각사를 세워 자신의 신소설 《은세계(銀世界)》를 처음 공연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학창시절 이인직이 《혈(血)의 누(淚, 1906)》, 《귀(鬼)의 성(聲, 1908)》, 《치악산(雉岳山, 1908)》, 《은세계(銀世界, 1913)》 따위 신소설을 쓴 작가라는 말을 배웠습니다. 특히, 《혈(血)의 누(淚)》는 첫 장편소설로서 본격적인 신소설의 효시에 해당되는 작품이라고 배웠지요. ▲ 《혈(血)의 누(淚)》를 쓴 소설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과 1908년 동문사에서 펴낸 이인직이 지은 신소설 《은세계(銀世界, 1913)》,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그러나 이윤옥 시인의 시집 《사쿠라 불나방(도서출판 얼레빗, 2011》..

(얼레빗 4177호) 김동인, 광복 직전 조선총독부에 아부했다

“(앞 줄임) 광복 두 시간 전 총독부 학무국 / 동인이 찾아간 사무실 안 침묵이 흐른다 / 아 아베 씨 좀 보소 / 그걸 만듭시다 / 시국에 공헌할 작가단을 꾸리자구요 / 아베, 머리 절레절레 흔든 뜻은 / 이런 쓰레기 같은 조선놈 /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아부하기에 바쁜 조선놈 / ..

(얼레빗 4126호) 113년 전 오늘 친일작품 《혈의 누》 연재 시작

한국문화편지 4126호 (2019년 07월 22일 발행) 113년 전 오늘 친일작품 《혈의 누》 연재 시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26][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13년 전인 1906년 오늘(7월 22일)은 이인직의 신소설 《혈(血)의 누(淚)》가 일간신문 ‘만세보’에 연재되기 시작한 날입니다. 우린 학생시절 ..

8월 15일 - 해방된 조국에서 친일문학을 다시 살펴봅니다

어느 겨울바람 세게 불던 날 긴 모가지로 사방 살피며 문 잠그고 김광진과 달콤한 밤을 보낼 때 그때 일송정 선구자들 북간도 벌판에서 왜놈 순사 칼에 죽어 가던 날 그날 ‘우리들이 내놓는 정다운 손길을 잡아라 젖과 꿀이 흐르는 이 땅에 일장기가 나부끼고 있는 한 너희는 평화스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