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일람표 부호 이 름 용 법 . 마침표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 연월일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 • 의문문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렵거나 모르는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느낌표 •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8
문장 부호 전문 (4) - 5. 가운뎃점, 6. 쌍점 5. 가운뎃점(·)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영희, 선미·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예) 지금의 경상남도·경상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1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0
문장 부호 전문 (2) - 2. 물음표, 3. 느낌표 2. 물음표(?)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예) 점심 먹었어? (예) 이번에 가시면 언제 돌아오세요? (예) 제가 부모님 말씀을 따르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 (예) 남북이 통일되면 얼마나 좋을까? (예) 다섯 살짜리 꼬마가 이 멀고 험한 곳까지 혼자 왔다? (예) 지금? (예)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9
문장 부호 해설 - 21. 줄임표(……) (1)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로써 문장이 끝나는 것이므로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1) 그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성공할지는..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6
문장 부호 해설 - 16. 붙임표(-) (1)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쓴다. (예) 멀리뛰기는 도움닫기-도약-공중 자세-착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예) 김 과장은 기획-실무-홍보까지 직접 발로 뛰었다.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는 붙임표를 쓴다. (1) 우리..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0
문장 부호 해설 - 6. 쌍점(:) (1)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예)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예)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예)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예)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표제에 해당하는 항목을 열거하여 보이거..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4
문장 부호 해설 - 5. 가운뎃점(·) (2)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예) 상·중·하위권 (예) 금·은·동메달 (예) 통권 제54·55·56호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예) 상, 중, 하위권 (예) 금, 은, 동메달 (예) 통권 제54, 55, 56호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에는 가운뎃..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31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7)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내가, 정말 그 일을 오늘 안에 해낼 수 있을까? (예) 이 전투는 바로 우리가, 우리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44) 발 가는 대로, 그는 어느 틈엔가 안전지대에 가서, 자기의 두 손을 내려다 보았다. (45) 구보는, 자기는, 대체, 얼마..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4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6)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예)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어떤 어구가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쉼표를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