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계몽운동 5

신민회 주역 안태국 선생, ‘4월의 독립운동가’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안태국 선생(1877∼1920)을‘2022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안태국 선생은 신민회* 활동으로 옥고를 치르고 만주(북간도 혼춘)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으며, 3․1만세운동 이후 상하이로 와서 임시정부에 참여하였으나, 1920년 4월 고문 후유증 등으로 병사하였다. * 신민회 : 1907년 4월, 안창호의 발기로 양기탁, 이동휘, 유동열 등 7인의 창건위원과 노백린, 안태국, 이시영, 이회영, 신채호, 박은식 등이 중심이 되어 서울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단체로, 1910년경 회원수가 800여 명에 달할 정도로 당시의 영향력있는 애국계몽가들을 거의 망라한 국권회복운동 단체 1877년 평안남도 중화(현재 평양 부근)에서 태어난 선생은 ..

(얼레빗 4580]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양기탁 선생

신문과 방송 등 언론의 진흥을 위해 운영되는 사단법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서울 세종로 프레스센터 1층 로비에는 커다랗게 확대한 대한매일신보를 배경으로 대한매일신보를 만들었던 양기탁 선생과 배설(베델) 선생 흉상이 있습니다.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에 창간되어 일제의 침략에 저항했고 민족의식을 드높여 신교육에 앞장섰으며 애국계몽운동에 크게 이바지했던 신문이지요. 83년 전 오늘(4월 19일)은 양기탁 선생이 병을 얻어 중국 강소성에서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뜬 날입니다. 선생은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펼쳐진 국권 회복 운동인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의 중심이 되어 이 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일제는 양기탁 선생을 ‘국채보상의연금 횡령’..

(얼레빗 4561호) 98년 전 오늘 임시정부 대통령 된 박은식

“나의 병세가 심상치 않게 감각되오. 만일 내가 살아난다면 다행이거니와 그렇지 못하면 우리 동포에게 나의 몇 마디 말을 전하여 주오. 첫째, 독립운동을 하려면 전 민족적으로 하나 되어야 하고, 둘째, 독립운동을 으뜸 운동으로 하여 독립운동을 위하여는 어떠한 수단 방략이라도 쓸 수 있는 것이고, 셋째, 독립운동은 우리 민족 전체에 관한 공공사업이니 운동 동지 간에는 사랑과 미움이나 친하거나 친하지 않음의 구별이 없어야 합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박은식 선생(독립기념관 제공) 이 말은 1923년 오늘(3월 23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이 된 박은식(朴殷植, 1859~1925) 선생이 1925년 11월 1일 67살을 일기로 숨을 거두기 직전 동포들에게 고한 말입니다. 박은식 선생은 ..

(얼레빗 4524호) 일제에 진 빚 1,300만 원, 국민이 갚자

지금으로부터 114년 전인 고종 44년(1907년) 1월 29일 대구 광문사(廣文社) 문회(文會) 특별회에서 애국계몽운동을 벌이던 광문사의 부사장 서상돈은 모든 국민이 금연으로 돈을 모아 국채를 보상하자고 제의했고, 참석자들이 이에 찬성하면서 즉석에서 2,000여 원이 모금됐습니다. 이어 2월 21일, 대구 북후정(北堠亭)에서 대동광문회 주최로 국채보상을 위한 대구군민대회가 열려 국채보상취지서가 발표됐고, 대회에 참석한 군민들부터 성금을 모으기 시작한 국채보상운동은 전 국민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전국 각 지역으로 번져 나갔지요 ▲ 1907년 4월 12일 경향신문에 실린 국채보상론에 관한 논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이 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기 위해 강압적으로 떠안긴 차관 1,..

(얼레빗 4280호) 고개를 빳빳이 든 채로 세수한 신채호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선생은 세수할 때 고개를 빳빳이 든 채로 물을 찍어다 바르는 버릇 때문에 마룻바닥, 저고리 소매와 바짓가랑이가 온통 물투성이가 됐다고 합니다. 선생은 자기가 옳다고 믿는 일이면 절대로 뜻을 굽히지 않았는데, 특히 일본이 지배하는 땅에서는 고개를 숙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