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9

아버지에게 갔었어 - 신경숙

한국소설에서 그간 비어 있던 ‘아버지’의 자리를 여성작가의 시각으로 새로이 써낸 이번 소설은, 엄마가 입원하자 J시 집에 홀로 남게 된 아버지를 보러 가기 위해 ‘나’가 5년 만에 기차에 오르며 시작된다. 눈앞에 펼쳐질 듯 생생한 묘사로 그려진 J시와 그 안에서 평생을 살아온 아버지의 지나온 삶이 겹쳐지며, 순식간에 ‘나’는 아버지의 삶 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아버지는 한국전쟁 트라우마로 고통받아왔으며 “젊은 날에 당신의 새끼들인 우리가 음식을 먹는 걸 보면 무서웠”지만 그것이 도리어 살아갈 힘이 되었다고 말하는, ‘아버지’ 하면 으레 떠오르기 마련인 가부장적인 억압과는 완전히 거리가 먼 인물이다. ‘아버지’ 인물의 생생함은 그가 가진 서사의 리얼리티로도 드러난다. 한국전쟁부터, 돈을 벌기 위해 갔던 서울..

윤용하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

올해는 우리 음악사에 큰 업적을 남긴 작곡가 윤용하 선생이 태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윤용하 선생은 우리나라의 광복을 기념하는 노래 ‘광복절 노래’와 한국 대표 가곡 ‘보리밭’ 등을 작곡하였고, 서정적인 멜로디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했습니다. 윤용하는 1922년 3월 16일에 황해도 은율군의 독실한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모님의 뜻에 따라 성당에 다녔던 윤용하는 어린 시절부터 특별한 음악적 재능을 보였습니다. 한번 들은 성가의 멜로디를 잊는 법이 없었고, 어린이 성가대의 독창자로 뽑히기도 했으며, 부활절 성극(聖劇)에 출연하기도 하였습니다. 윤용하가 열두 살이 되던 1933년에 그의 가족은 일제의 압정을 피해 모든 것이 낯선 만주 봉천으로 이주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해 피아노를..

조선 왕실 어진 기념우표

‘어진’은 왕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를 의미하며, 그중 조선 시대 어진은 초상화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임금이 정치적 위기에 처했을 때 정통성을 상징하는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새로 제작하고 봉안했다는 기록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처럼 임금과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어진을 소재로 하여 ‘조선 왕실 어진’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조선 왕실은 임금의 모습을 함부로 형상화하는 것을 불경스럽게 여겨 금기하였고, 어진의 제작과 관리를 엄격히 통제했습니다. 왕명에 따라 엄중한 절차와 형식을 갖추어 어진을 제작했고, 제작 후에는 ‘진전’이라 불리는 건물에 어진을 봉안하고 예를 갖추어 의식을 행하였습니다. 조선은 개국 초부터 꾸준히 어진을 제작하였으며, 그 전통을 조선 말기까지 유지해왔습니..

기억과 생각의 차이

‘기억’이란 한자말을 흔히 “초등학교 때 친구가 기억난다.”라든지, “할아버지의 모습은 기억이 잘 안 난다.”와 같이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문장들에서는 ‘기억’이란 낱말이 바르게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때에는 ‘기억’이 아니라 ‘생각’을 써서 “초등학교 때 친구가 생각난다.”, “할아버지의 모습은 생각이 잘 안 난다.”로 고쳐 써야 정확한 표현이 된다. 한자말 ‘기억’은 “어떤 일을 마음에 간직하여 잊지 않음”이란 뜻이므로 ‘기억하다’라고는 쓸 수 있어도 ‘기억나다’라고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앞에서 예를 든 문장에서처럼 “도로 생각해낸다”는 뜻으로는 ‘생각난다’로 해야 문맥이 통하고 어색하지 않다. 곧 어떤 일이나 지식을 머리에 담아두는 일은 ‘기억’이라 하고, 기억된 것을 꺼내는 일은 ..

(얼레빗 4609호) 선조 임금 피난길 불쏘시개가 된 화석정

林亭秋己晩(임정추기만) 숲 속 정자엔 가을이 이미 깊이 드니 騷客意無窮(소객의무궁) 시인의 시상(詩想)이 끝이 없구나 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 멀리 보이는 물은 하늘에 잇닿아 푸르고 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 서리맞은 단풍은 햇볕을 향해 붉구나 山吐孤輪月(산토고륜월) 산 위에는 둥근 달이 떠오르고 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 강은 만리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머금었네 塞鴻何處去(새홍하처거) 변방의 기러기는 어느 곳으로 날아가는고 聲斷暮雲中(성단모운중​) 울고 가는 소리 저녁 구름 속으로 사라지네 ​ 위 시는 경기도 파주 화석정에 걸린 것으로 율곡 이이가 8살 때 지었다는 입니다. 화석정은 임진강가 벼랑 위에 자리 잡은 경치가 빼어난 곳이지만 최근에 이 앞쪽으로 새로이 길이 생겨 예전의 절경은 구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

(얼레빗 4249호)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 애치슨 라인 발표

70년 전 오늘(1월 10일)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Dean Gooderham Acheson)은 “애치슨 라인(Acheson Line)”이란 걸 발표합니다. “애치슨 라인”은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방위선 구상인데 미국의 태평양지역 방위선을 알류산 열도-일본-오키나와-필리핀으로 연결되는 선으로 정한 것입니다. 애치슨..

(얼레빗 4125호) 사치한 밀국수, 이젠 흔한 음식 되어

한국문화편지 4125호 (2019년 07월 19일 발행) 사치한 밀국수, 이젠 흔한 음식 되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25][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은 낱말풀이와 말밑(어원)을 적은 책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맥설(밀가루)을 진말(眞末)이라고 부른..

(얼레빗 4124호) 한국전쟁 때 큰 공을 세운 ‘지게’

한국문화편지 4124호 (2019년 07월 18일 발행) 한국전쟁 때 큰 공을 세운 ‘지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24][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미국 워싱턴D.C. ‘한국전쟁기념공원’에는 민간인들이 지게로 탄약을 운반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들은 군번도 계급장도 없는 무명옷 차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