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2일 - 위대한 글자 한글 넷,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한글은 세종이 28자를 반포할 1446년 당시는 훈민정음이라 불렸습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글이란 뜻이겠지요. 그런데 이 '훈민정음'이 왜 '한글'로 불리게 되었을까요? 훈민정음은 반포 이후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고도 불렸으며, 한편에서는 가갸..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12
10월 11일 - 위대한 글자 한글 셋, 훈민정음은 세종의 작품 우리가 흔히 훈민정음이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의 공동작품이라고 알고 있지요. 하지만 훈민정음은 세종의 독창적인 작품입니다. 집현전 학자들이 창제에 직접 가담하지 못한 이유는 우선 부제학 최만리 같은 집현전 학자 대부분이 새로운 글자의 창제를 반대했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11
10월 10일 -위대한 글자 한글 둘, 바람소리도 옮기는 글자 한글의 특징 가운데 중요한 또 한 가지는 독창적인 글자이며, 글자를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 만든 때가 분명한 글자라는 것입니다. 현재 세계에는 5,000여 개(20세기 초, 프랑스 한림원에서 보고한 세계의 언어는 2,796개) 말이 있고, 이 중 100여 개 만이 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10
(얼레빗 3923호) 훈민정음 반포를 기린 가갸날 그리고 한글날 한국문화편지 3923호 (2018년 10월 10일 발행) 훈민정음 반포를 기린 가갸날 그리고 한글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2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글을 만들어 세상에 반포한 것을 맨 처음 기린 날은 1926년의 일입니다. 그때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지금의 한글학회)가 《세종실록(世..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8.10.10
10월 9일 - 위대한 글자 한글 하나, 한글날 잔치를 열던 어느 외국인 세계 언어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한글을 최고의 글자라고 말합니다.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미국의 언어학자 제임스 매콜리(별명 막걸리) 교수는 한글날만 되면 언어학자로서 최고의 글자를 기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친구, 친지, 제자들을 불러 잔치를 하곤 했다지요. 그러면 왜 한글..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09
한국을 빛낸 발명품 특허청이 발표한 한국을 빛낸 발명품. 1위는 훈민정음이 뽑혔다. 거북선, 금속활자, 온돌이 뒤를 이었다. 친숙한 생활용품도 있었다. 5위는 커피믹스, 6위는 이태리타올, 7위는 김치냉장고, 8위는 천지인 한글 자판이었다. 지난 게시판/생활, 일반상식 2018.08.08
5월 18일 -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 넷, 명나라에 지성으로 사대했다? 《세종실록》에 보면 세종은 중국 황제가 죽었을 때 사흘만 입어도 되는 복을 스무이레 동안이나 입었습니다. 또 신하들의 반대에도 명나라의 요구에 응해 중요한 군수물자인 말 3만 마리를 보내고, 농사에 지장을 줄까봐 걱정하면서도 소 1만 마리를 보냈습니다. 신하들의 반대에 세종..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05.18
5월 16일 -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 둘, 세종의 백성 사랑 “이조 판서 허조가 ‘신은 폐단이 일어날까 두렵습니다. 간악한 백성이 율문을 알게 되면, 죄의 크고 작은 것을 헤아려서 두려워하고 꺼리는 바가 없이 법을 제 마음대로 농간하는 무리가 일어날 것입니다’라고 하자, 임금이 ‘그렇다면, 백성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고 죄를 짓게 하는 ..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05.16
(얼레빗) 3409. 《훈민정음 상주본》 값어치 1조 원?, 민족정신으로 보아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20. 문화유산을 돈으로 따지는 것이야말로 선조의 예술혼을 더럽히는 것이고 천박한 일이겠지만 세간 사람들에게는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한국방송(KBS)의 교양 프로그램 가운데 묻혀있던 진품명품을 발..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0.20
(얼레빗) 3286. 훈민정음 창제에 큰 공을 세운 정의공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2. 며칠 뒤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임금이 태어나신 날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훈민정음 창제에 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 특히 훈민정음은 세종임금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창제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