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세상사는 이야기 164

[알기 쉬운 우리 새말] 가상 세계에도 패션이 있다

언제부터인가 ‘메타’(meta)라는 단어가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메타’란 ‘사이, 초월’ 등을 뜻하는 말로, 형이상학을 가리키는 ‘메타피직스’(metaphysics), 보다 높은 차원의 인지 또는 사고 활동을 뜻하는 ‘메타 인지’ 등 다소 낯설고 추상적인 인문학 용어에 쓰이던 말이었다. 그랬던 것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가상 세계에서 이뤄지는 여러 가지 활동을 일컫는 표현에 ‘메타’를 말 앞에 붙이면서 마치 일상용어처럼 쓰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메타 버스’. ‘메타’와 ‘유니버스’(universe)를 합한 말로, ‘확장 가상 세계’(가상 융합 세계)를 뜻한다. 오늘 살펴볼 ‘메타 패션’도 그 한 갈래다. ‘메타 패션’은 확장 가상 세계에 등장하는 아바타의 피부, 옷, 신발, 장신..

배리어프리와 무장애 여행, 용어 접근성부터

억눌렸던 여행 심리가 활화산처럼 분출되고 있다. 관광약자의 여행도 마찬가지다. 장애인 등 관광약자는 다양한 접근권이 확보되어야 여행하는 데 불편함을 덜 느끼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다. 접근권의 가장 핵심은 물리적 접근성이다. 이동 접근성, 건물 접근성 등 물리적 접근성은 여행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물리적 접근성의 첫 번째 요소는 이동이다. 여행의 기본은 이동이기 때문이다. 정보 접근성도 중요하긴 마찬가지다. 여행에 대한 정보가 아무리 많아도 관광약자에게 맞게 가공된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다. 응대(서비스) 접근성도 그렇다. 여행은 소비 행위이기 때문에 소비자로서 정당한 응대를 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다. 여기에 용어 접근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무장애 여행과 관련된 용어에 외국어가 많..

전기 용어, 위험한 말에서 안전한 말로

외래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작업은 외래 용어들을 국어 어휘 체계 내에 온전히 정착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물론 외래 용어를 소리 나는 대로 읽은 것이 그대로 차용되어 자연스럽게 국어 어휘 체계에 정착되기도 하지만, 외래 용어 등에 익숙하지 않은 많은 언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의미만을 차용하여 국어의 재료로 새 단어를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어려운 한자어, 전문용어를 조사하고 쉬운 용어로 개선하는 ‘정부 공공기관 대상 어려운 전문용어 개선 지원 사업’은 이러한 맥락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어려운 전문 언어 사용으로 발생되는 정보 불평등과, 시간, 비용 등의 사회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영남대학교 ..

‘로컬푸드’를 ‘가까운 먹을거리’로 부르자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말과 용어가 생겨난다. 다른 영역도 마찬가지겠지만 먹을거리 환경은 기후 위기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 먹을거리 관련 정책과 일상생활에서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도 많다. 최근 우리는 로컬푸드나 로컬푸드 직매장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한다. 1990년대 중반에 건강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먹을거리 운동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를 “로컬푸드”라고 부르고 있다. 먹을거리 정책, 계획을 좀 더 쉽고 깊게 접할 수 있도록 2016년 유엔 총회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 정부도 2018년에 한국형 지속가능발전목표(K-SD..

일제가 갈라놓은 창경궁-종묘 90년 만에 연결…22일 개방

서울시는 창경궁과 종묘를 90년 만에 다시 연결했다. 일제가 갈라놓은 창경궁과 종묘가 90년 만에 다시 연결됐습니다. 종묘는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위패)를 모신 왕가의 사당으로, 국내 최초로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데요, 1932년 일제가 지금의 ‘율곡로’를 개설하면서 창경궁과 종묘 사이가 끊어졌습니다. 서울시는 율곡로를 지하화하고 녹지를 조성해 끊어졌던 녹지축을 연결하는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조선왕실의 발자취를 느끼며 산책할 수 있는 궁궐담장길도 새로 생겼습니다. 22일부터 개방되니 가족·지인과 나들이 다녀오세요.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 첫 삽 뜬지 12년 만에 완료 서울시는 창경궁과 종묘를 90년 만에 다시 연결했다.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새롭게 힘받아 뜨는 말들

다듬을 외국어 새말 후보를 훑어보던 새말모임 위원들 중 몇 사람이 고개를 갸웃했다. 디제라티(digerati)? 이게 무슨 뜻이지? 풀이를 보니 디지털(digital)과 지식인을 뜻하는 ‘리터라티’(literati)를 붙인 합성어다.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가는 새로운 지식 계층을 뜻한다고 한다. 다시 한번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평소 우리말 순화에 관심을 두고 불필요한 외국어 표현이 새로 등장하는 현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새말모임 위원들에게조차 낯선 단어가 아닌가. 그렇다면 일반 국민에게는 더더구나 낯설 법한 단어를 서둘러 다듬어야만 할까? 위원들은 잠시 고민을 했다. 결론은 이러했다. 이미 많이 쓰고 있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작업은 물론 시급하지만, 아직은 낯선 단어를 한 발짝 빨리 새말로 ..

넷 제로? 탄소 중립?

“넷째로, 넷째로 자꾸 그래서 무슨 말을 하려고 계속 ‘네 번째’만 반복하나 했다니까. 그런데 분명 환경 관련된 이야기를 하는 거야, 참 내…” 어떤 선배가 투덜대면서 환경학자인 내게 건넨 말이다. 시민운동가와 학자들이 모여서 이런저런 논의를 하는 자리였나 본데, 참여자 한 분이 논의 대상이 될 만한 주제를 나열하면서 이 말을 꺼냈다고 한다. 환경 정책가와 학자, 시민운동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퍼진 말, ‘넷째로’는 ‘net zero’를 좀 우악스럽게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이다. 요즘은 공식적으로 ‘탄소중립’이라고 말하지만 아직도 이 말을 쓰는 사람이 많은가 보다. 그림1.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이 동등할 때 ‘탄소중립’을 이룬다. 탄소중립이란 단순하게 이야기하자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양과 흡..

국어책임관을 아시나요?

공공기관에서는 국민들에게 투명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해야 할 때가 많다. '국유재산의 관리, 보관을 해태하지 않겠습니다', '가로수 식재 사업 비용 지변 계획서'와 같이 어려운 용어를 사용한다면, 정확한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것이다. 이와 비슷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국어기본법으로 ‘국어책임관’이라는 직책을 마련해 두었다. 국어기본법에 의하면, 국어책임관은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소속 공무원이나 정책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올바른 국어사용을 촉진하고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한 업무를 담당한다고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구청, 시청, 세무서 등 공공기관마다 국어책임관이 존재하고 있다. 국어책임관의 가장 대표적인 업무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국민 알 권리 보장할 말 쓰자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표가 난다고 한다. 사람 하나가 빠지면 그만큼 빈자리가 크게 다가온다는 속담이다. 말은 그 반대다. 든 자리는 표가 나도 난 자리는 모른다. 정부 당국자들이 외국어를 남용하면 저래도 되나 싶다가도 그걸 사용하지 않으면 평소에 외국어를 남용하는지 어떤지 눈치채기 어렵다. 코로나 사태가 터진 뒤 온갖 외국어가 등장했다. 코호트 격리, 팬데믹, 에피데믹, 엔데믹, 글로브 월, 드라이브 스루, 워킹 스루, 부스터샷, 트래블 버블,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 롱코비드…. 마치 국민 외국어 교육시키는 건가 싶을 정도였다. 거기에 평소 공무원들이 입버릇처럼 사용하는 외국어 용어까지 가세해 사태 파악을 어렵게 만들곤 했다. 지난해 10월 중순 단계적 일상회복 지원위원회에서는 ‘단계적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