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240

(얼레빗 제5091호) 제주목사 이형상, 정방폭포를 구경하다

漢挐山以下 한라산에서 아래로 흘러松盤奇古節 도사린 소나무는 빼어난 옛날의 절개로南北正方淵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정방연巖謝倒流川 바위에서 물러나 흐르는 시내에 넘어질 듯하네碧海蒼天外 파란 바다는 푸른 하늘 밖에 있고夕照浮雲擁 저녁노을은 떠도는 구름에 에워졌는데青山白雪邊 푸른 산은 흰 눈 가장자리에 있네.西歸昨夜煙 서귀진은 어젯밤 안개에 쌓여있구나 ▲ 이형상의 보물 가운데 ‘정방탐승(正方探勝)’ 이 시조는 1702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한 이형상(李衡祥, 1653~1733) 목사가 쓴 정방연(正方淵)」이란 한시입니다. 이형상은 제주에 목사로 부임하여 곳곳을 돌아보고 남긴 중요한 순간들을 1703년 화공(畫工) 김남길(金南吉)에게 그리게 하여 보물 란 화첩을 남겼습니다(국립제주박물..

「봉은사 생전예수재」 국가무형유산 지정 예고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봉은사 생전예수재」를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하고, (사)생전예수재보존회(대표 김종민)를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한다. 또한, 국가무형유산 「영산재」 전승교육사 이병우(李秉祐, 서울 서대문구) 씨를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한다. ‘생전예수재’는 ‘살아서(生前) 미리(預) 덕을 닦는(修) 재(齋)’라는 의미로, 살아 있는 자가 사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례다. 앞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영산재(1973), 수륙재(2013)와 함께 불교를 대표하는 천도의식으로 자리 잡아 왔다. ▲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된 봉은사 생전예수재 봉송회향 장면 ▲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된 봉은사 생전예수재 택전의식 장면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봉은사 생전예수재」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어요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새 푸새: 뫼(산)와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보기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오늘 아침 하늘도 숨씨(공기)가 참 맑습니다. 깊게 숨을 들이 쉬었더니 힘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 빗물을 먹어서 그런지 뫼와 들에 난 푸새들도 훌쩍 자라 보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그렇게 시나브로 자라고 있겠지요? '푸새'는 '잡초(雜草)'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흔히 '풀'이라고도 하지만 '푸새'라는 말도 알맞게 써 보시면 말맛과 글맛을 새롭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미키7 - 에드워드 애슈턴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차기 SF 영화의 원작!복제인간으로 끊임없이 되살아나는 한 사내를 주인공으로,정체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과 계급간의 모순을 파고든 SF 장편소설. 죽더라도 끊임없이 전임자의 기억을 갖고 복제인간으로 되살아나게 되는 미키의 일곱 번째 삶을 소재로 SF의 재미와 철학적 주제를 잘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먼 미래, 끊임없이 전 우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던 인류가 새로운 행성 '니플하임'을 개척하려 하지만, 공격적인 성향의 토착 생명체인 크리퍼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개척단에서 가장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익스펜더블(소모인력)인 미키7이 탐사 도중 발을 헛디뎌 얼음 구덩이 아래로 추락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상처를 입긴 했지만, 아직 살아있던 미키는 ..

짐승들도 '푸른먹이'를 많이 먹을 수 있겠죠?

푸른먹이: 마르지 않아서 푸른 채로 있는 싱싱한 먹이보기월) 푸나무가 잘 자라 짐승들도 푸른먹이를 많이 먹을 수 있겠지요? 새벽부터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어린이날이자 부처님오신날이 들여름(입하)이었으니 이 비도 여름을 재촉하는 비일 것입니다. 날씨를 알려 주는 분이 모레부터 더울 거라는 말을 해 주지 않았어도 그런 느낌이 왔습니다. 온 나라 곳곳에 안 오는 곳이 없이 많이 내릴 거라고 하더라구요. 곳에 따라 메말랐던 땅을 비가 넉넉하게 적셔 줄 것입니다. 푸나무가 잘 자라 짐승들도 푸른먹이를 많이 먹을 수 있겠지요? 텃밭에 심어 놓은 푸성귀도 무럭무럭 잘 자랄 거라 믿습니다.'푸른먹이'를 어려운 말로는 '청사료(靑飼料)'라고 한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얼레빗 제5090호) 영ㆍ정조 대의 탕평책이 가지는 뜻

"인묘조에 여러 신하들을 추복(追復, 빼앗았던 벼슬을 죽은 뒤 회복시킴)시켰을 때와 선묘조에 군흉(群凶, 흉악한 무리)을 추삭(追削, 죽은 사람의 벼슬을 깎아 없앰)하였을 때를 참고하여 옛글과 교문(敎文, 죄인을 사면하기 위해 임금이 내리는 글)을 지어 올리도록 하라. 이와 같이 처분한 후에도 이 일을 다시 제기하는 자가 있을 것 같으면 마땅히 멀리 유배라도록 하는 법을 시행할 것이다. 아! 가까운 신하들은 나의 이 분부를 조정과 민간으로 하여금 모두 분명히 알게 하여야 할 것이다.“ 위는 《영조실록》 5권, 영조 1년(1725년) 4월 10일 기록으로 영조 임금이 즉위하고 반년이 지난 뒤 탕평책을 대내외에 밝힌 것입니다. 노론ㆍ소론ㆍ남인ㆍ북인 등이 휩쓴 붕당정치의 폐해를 겪었던 영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푸둥지'로 파닥거리는 어린 새가 참 귀여웠습니다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둥지 푸둥지: 아직 깃이 나지 아니한 어린 새의 날갯죽지보기월) 푸둥지로 파닥거리는 어린 새가 참 귀여웠습니다. 여러 날을 이어서 잘 쉬셨는지요?짙은 안개가 걷힌 푸나무 잎이 비가 내린 듯 이슬로 함초롬하게 젖어있었습니다.햇빛을 받아 더욱 빛이 나는 이슬 방울이 구슬처럼 예쁘게 보였지요.아침에 마실을 나갔다가 새 둥지 하나를 보았습니다. 푸둥지로 파닥거리는 어린 새가 참 귀여웠습니다. 어미새는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난 듯하였습니다. 사람들 눈에 많이 띄지 않는 곳이라서 마음이 놓였습니다. 다가온 어버이날 하늘 나라에 계신 어머니 생각이 절로 났습니다. 튼튼하게 잘 자라기를 빌어 주고 제 갈 길을 갔습니다. '푸둥지'가 들어간 옛말에 "푸둥지도 안 난 것이 날려고 한다...

강바닥 준설은 효과적인 홍수 대책이 아니다

지난 2023년 7월에 폭우가 내려서 낙동강 상주보 제방 일부가 무너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8월 1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화진 환경부 장관에게 “치수의 제1번은 하천 준설”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한 말씀 하시니, 환경부는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한 준설 사업을 시작했다. ▲ 홍수로 무너져 내린 상주보 제방 (출처: 시사IN 2023.8.31.) 환경부에서는 2020년 8월에 집중 호우로 홍수 피해가 발생했던 낙동강의 제1지류인 황강을 대상으로 2024년부터 하천정비사업을 시작하였다. 황강 정비 사업 구간은 합천군 용주면 용주교에서부터 청덕면 청덕교까지 총연장 50km이며 사업비는 2,600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환경부에서는 준설과 수목 제거가 2027년까지 끝나면 황강의 홍수위가 최대 93cm..

(얼레빗 제5089호) 583년 전 세계 처음으로 측우기 만들다

"서울에서는 쇠를 주조(鑄造)하여 기구(器具)를 만들어 이름을 ‘측우기(測雨器)’라 하니, 길이가 1척(尺, 33.33cm) 5촌(寸, 1치의 1/10)이고 직경(直徑)이 7촌입니다. 주척(周尺, 자)을 사용하여 서운관(書雲觀, 천문ㆍ역일(曆日)ㆍ측후(測候) 등을 맡아보던 관청)에 대(臺)를 만들어 측우기를 대(臺) 위에 두고 매양 비가 온 뒤에는 서운관의 관원이 친히 비가 내린 상황을 보고는, 주척(周尺)으로써 물의 깊고 얕은 것을 측량하여 비가 내린 것과 비 오고 갠 때와 물 깊이의 척ㆍ촌ㆍ분(尺寸分)의 수(數)를 상세히 써서 뒤따라 즉시 임금에게 아뢰고 기록해 둘 것이며,“ 위는 《세종실록》 96권, 세종 24년(1442년) 5월 8일 기록입니다. 583년 전인 1442년 조선에서 강수량 측정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