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2008년~2009년 남양주 별내 택지개발사업 터의 무연고 여성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모두 52건 71점 가운데 사료적 값어치가 있는 10건을 국가민속문화유산 「남양주 16세기 여성 무덤 출토복식」으로 지정하였다.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복식 유물은 16세기 중기 복식 연구 자료로서 값어치가 높으며, 당시의 복식과 장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유물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직금사자흉배 운문단 접음단 치마’는 조선전기 연금사(撚金絲)*로 비단 바탕에 무늬를 짜 넣어 만든 사자흉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다. 16세기 단령*이나 원삼* 등 남녀 예복용 포에 사용했던 옷감을 하의인 치마에 활용하였다는 사실이 처음 발견된 사례자, 해당 치마의 겉감을 이루는 사운문(四雲紋)* 등을 통해 구름무늬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 연금사(撚金絲): 속심 실에 납작한 금실을 돌려 감아 만든 금실
* 흉배(胸背): 조선시대 문무관(文武官)의 관복 단령에 날짐승이나 길짐승 무늬를 직조하거나 수놓아 만든 품계를 표시하던 사각형 장식. 단종 대에 처음 흉배제도를 도입하였을 때 사자흉배는 도통사(고종 시절 궁궐 수비를 맡은 관청인 무위영을 거느린 장수)의 흉배로 사용하였음
* 단령(團領): 조선 말기까지 모든 관원이 착용한 깃이 둥근 관복으로, 예복용 단령과 집무복용 단령이 있음, 당상관의 예복용 단령에는 무늬 있는 옷감을 사용하였음.
* 원삼(圓衫): 조선의 여성 예복. 16세기 원삼은 남자의 단령과 유사한 '둥근 형태의 깃'이 달린 옷으로, 옆선이 트였으며, 소매는 접어 올린 짧은 형태임.
* 사운문단(四雲紋段): 비단 1폭 너비(대략 65~70㎝)에 4개의 구름무늬를 넣어 짠 단직물
▲ 접음단 치마
▲ 직금사자흉배 운문단 접음단 치마
▲ 직금사자흉배
양반층 부녀들이 예복으로 입은 ‘장삼(長衫)’ 역시, 그동안 출토된 형태가 젖힌 깃인데 견주어, 곧은 깃으로 제작한 여성용 습의*로 희소성이 있고, 장삼에 사용한 넓은 띠인 ‘대대(大帶)’ 또한 상태가 양호하여 16세기 구름 모양의 무늬 연구에도 활용 값어치가 높다.
* 습의(襲衣): 장례 때 시신에 입히는 옷
* 국가의 기본 예식인 오례(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를 규정한 문헌인 《국조오례의》에 따르면 습의 상복에는 대대를 쓰게 되어 있음
* 대대(大帶): 남자 심의(深衣)와 여자의 원삼(圓衫)에 띠던 넓은 띠
▲ 장삼(왼쪽), 대대
▲ 장삼 젖힌 깃(왼쪽), 곧은 깃 자료
이 밖에도 치마의 앞부분을 접어서 앞은 짧고 뒤는 길게 만든 ‘전단후장형 치마’는 앞 길이를 짧게 하려고 쓴 주름의 위치가, 다른 묘에서 출토된 유물과는 달리 허리말기 가까이에 잡았다는 점에서 치마의 새로운 제작법을 보여주는 자료다. 또한, 조선시대의 부녀자들이 나들이 때 입었던 ‘장옷’과 한 겹의 모시 저고리인 ‘장한삼’,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넣고 바느질한 눈썹단 장식의 여자 ‘누비 저고리’ 등도 상태가 양호하여 섬세한 바느질 기법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슷한 복식과의 비교 연구와 시대를 판단하는 기준 자료로도 활용도가 높다.
* 말기: 치마나 바지 따위의 맨 위에 둘러서 댄 부분
▲ 전단후장형 치마
▲ 전장후단형 저고리
▲ 장옷
▲ 장한삼
▲ 저고리
▲ 저고리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먹는 하마, 지방 공항 (0) | 2023.09.28 |
---|---|
(얼레빗 제4859호) 김육, 백성의 삶 체험하고 대동법 외쳐 (1) | 2023.09.27 |
100년 만에 열리는 대한제국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0) | 2023.09.26 |
한층 친근해진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 캐릭터 (0) | 2023.09.26 |
(얼레빗 제4858호) ‘가야고분군’서 빠진 고녕가야 고분군 (0)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