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4호

튼씩이 2016. 11. 25. 16:08

한국문화편지

3434호 (2016년 11월 25일 발행)

공문서 한글로만 쓰라는 국어기본법은 합헌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34] 헌재, 초중등교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공공기관이 작성하는 공문서를 한글로 작성하도록 한 국어기본법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합헌)고 헌법재판소는 결정했습니다. 어제 11월 24일 헌법재판소는 2012년 10월 국어기본법 제3조 등 공문서의 한글전용이 위헌이라며 낸 ‘국어기본법 제3조 등 위헌확인’ 사건과 관련 "국민들은 공문서를 통해 공적 생활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자신의 권리 의무와 관련된 사항을 알게 되므로 국민 대부분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한글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며 합헌 결정한 것입니다. 헌재는 이어서 "한자어를 굳이 한자로 쓰지 않더라도 앞뒤 문맥으로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
은실을 이용한 꾸밈이 훌륭한 “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
날 전복을 공물로 올리겠다고 하자 손사래를 친 영조 임금
시래기 엮어 달고 김장 서두르는 ‘소설(小雪)’
양반과 백성 사이 대립을 날카롭게 풍자하는 은율탈춤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1784년 한 해의 평범한 일상을 현미경을 통해 바라보… 서울역사박물관, <1784 유만주의 한양> 전시 열려 거대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은 1784 유만주의 한양 전시를 11월 25일(금)부터 2017년 2월 26일(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연한다…
「구르미 그린 달빛」 세자저하와 라온이처럼 ‘소원… 서울시, 26일(토) 북촌문화센터에서 전통문화체험행사 진행…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시는 26일(토) 이른 10시부터 늦은 4시까지 종로구 계동에 있는 북촌문화센터에서 ‘11월의 전통문화체험’ 행사…
[화보] 청주 미륵신앙의 큰 절 용화사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충북 청주시내에는 보기드문큰 절이 하나있다. 언뜻 보기에 모두가 새로 지은 전각처럼 보여서 그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차다’와 ‘춥다’
민천식・김나연으로 이어진 황해도 화관무(花冠舞)
목가구의 아름다움 - ‘선(線)선(鮮)선(善)’ 확인하…
고대 중국인의 생활과 공예품을 보러 가자
11월의 어느 멋진 날, 시낭송 감동으로 펼쳐져
[화보] 이갑룡처사를 그리며 마이산 탑사의 가을을…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290] 첫얼음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첫얼음 봄철의 녹은 물이 뜻을 세워 굳꼴이…

국악 속풀이

더보기
민천식・김나연으로 이어진 황해… [국악속풀이 290]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인천 계양문화회관에서 열린 삼…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 12대 일왕의 나이가 148살? [맛있는 일본이야기 377] 일왕의 역사…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내가 갖고 있는 책 《별책역사독본(別冊歷史讀本…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서울돈화문국악당과 예술가가 함께 만드…
섬네일
1784년 한 해의 평범한 일상을 현미경을…
섬네일
명나라 침몰 무역선을 통해 본 중국의 해…
섬네일
우리 악기의 재발견 ‘어나더 드림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