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2호

튼씩이 2017. 2. 27. 07:49

한국문화편지

3502호 (2017년 02월 24일 발행)

악명 높은 파락호 김용환 선생, 건국훈장 받다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마평 서씨문에 혼인은 하였으나 신행날 받았어도 갈 수 없는 딱한 사정. 신행 때 농 사오라 시댁에서 맡긴 돈, 그 돈마저 가져가서 어디에다 쓰셨는지? 우리 아배 기다리며 신행날 늦추다가 큰어매 쓰던 헌농 신행발에 싣고 가니 주위에서 쑥덕쑥덕. 그로부터 시집살이 주눅 들어 안절부절, 끝내는 귀신 붙어왔다 하여 강변 모래밭에 꺼내다가 부수어 불태우니 오동나무 삼층장이 불길은 왜 그리도 높던지, 새색시 오만간장 그 광경 어떠할고. 이 모든 것 우리 아배 원망하며 별난 시집 사느라고 오만간장 녹였더니...” 위는 학봉 김성일 선생의 13대 종손 김용환(金龍煥, 18…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손하는 “남해안별신굿”
오늘은 얼레빗 3,500호 그 뜻을 새겨봅니다
오늘은 역사학자이며 독립운동가인 신채호 선생 순국한 날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보내는 “도기 바퀴장식 뿔잔”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훈민정음 정신을 드높인 책 "동국정운" 대표집필자… 한글 학자 김슬옹과 함께 떠난 한글 여행 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슬옹 교수] 보한재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음력 6월 21일) 태어난 곳: 전라남도 나…
중생대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 경남 진주서 9쌍 뒷발자국, 신종 ‘코리아살티페스 진주엔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뜀걸음 형태의 포유류 발자국 화석을…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3] 고맙다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고맙다’는 아무리 많이 들어도 귀가 아프지 않고 늘 반가운 낱말 가운데 첫손 꼽힐 것이다. 그런데 일제 침략 뒤로…
도쿄 릿쿄 대학에서 열린 윤동주 추모회
88살 김세환 옹, 인류 문자 《바른소리 글》을 펴내
윤동주 영혼까지 번역한 우에노 미야코 시인을 찾아…
마더 테레사여, 나는 사랑을 배우고, 사랑했다
아침에 부르는 처용가
윤동주를 노래하는 재일동포 가수 이영보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3] 물고기 첫…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물고기 첫 뜀 그렇게도 좋다느냐 첫 뜀은 곤…

국악 속풀이

더보기
‘박타령’이라고도 부르는 판소… [국악속풀이 303]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판소리 <흥보가>중에서…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 성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히… [맛 있는 일본이야기 388]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히메지성은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입니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믿어라, 그리고 또 의심하라’
섬네일
국악관현악 명곡과 함께하는 희망찬 새…
섬네일
북극의 자연환경과 생활상, 그리고 북극…
섬네일
동북아시아에는 어떤 활과 화살이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