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1호

튼씩이 2017. 2. 23. 10:30

한국문화편지

3501호 (2017년 02월 23일 발행)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손하는 “남해안별신…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남해안의 통영과 거제도를 중심으로 한산도ㆍ사량도ㆍ갈도 따위의 섬 지방에서 예로부터 지내는 마을굿의 하나로 국가무형문화재 제82-4호 “남해안별신굿(南海岸別神굿)”이 있습니다.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손하는 이 굿은 주로 음력 정월 초에 거행되는데 마을에 따라 1년 또는 2~3년에 한 번 갖는 큰 굿이지요. 별신굿의 ‘별신’은 현지에서 ‘별손ㆍ벨손ㆍ벨신’ 따위로도 부르는데, 이 굿은 개(바다)를 먹이는 굿이라고 합니다. 동제(洞祭)가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것에 견주어 여러 신을 모시는 축제 성격이 강하지요. 굿은 세습무가 주관하나 동해안 지역처…
오늘은 얼레빗 3,500호 그 뜻을 새겨봅니다
오늘은 역사학자이며 독립운동가인 신채호 선생 순국한 날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보내는 “도기 바퀴장식 뿔잔”
오늘은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그은 이동녕 선생 나신 날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고구려 혜변스님을 위해 성덕태자가 창건한 절 학림… 혜변스님, 배불파의 박해를 피해 아스카에서 효고현으로 오다…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 분이 바로 고구려 에벤(惠便, 혜변)스님이십니다.” 보물관 담당자의 안내를 받아 들어서자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
[화보] 스리랑카 최고사찰 캔디 불치사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석가모니 부처님이 인도에서 도를 이루어 생겨난 불교는 인도에서 힌두교와 경쟁하며 성장하고번성하며 세를 얻어갔다…
중생대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 경남 진주서 9쌍 뒷발자국, 신종 ‘코리아살티페스 진주엔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뜀걸음 형태의 포유류 발자국 화석을…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3] 고맙다
도쿄 릿쿄 대학에서 열린 윤동주 추모회
88살 김세환 옹, 인류 문자 《바른소리 글》을 펴내
윤동주 영혼까지 번역한 우에노 미야코 시인을 찾아…
마더 테레사여, 나는 사랑을 배우고, 사랑했다
아침에 부르는 처용가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3] 물고기 첫…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물고기 첫 뜀 그렇게도 좋다느냐 첫 뜀은 곤…

국악 속풀이

더보기
‘박타령’이라고도 부르는 판소… [국악속풀이 303]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판소리 <흥보가>중에서…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 성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히… [맛 있는 일본이야기 388]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히메지성은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입니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믿어라, 그리고 또 의심하라’
섬네일
국악관현악 명곡과 함께하는 희망찬 새…
섬네일
북극의 자연환경과 생활상, 그리고 북극…
섬네일
동북아시아에는 어떤 활과 화살이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