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3호

튼씩이 2017. 2. 27. 07:50

한국문화편지

3503호 (2017년 02월 27일 발행)

페르시아에서 들어온 시금치, 조선 때 “적근채…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50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菠薐傳數名(파릉전수명) 시금치는 여러 명칭이 전해지는데 其始出波羅(기시출파라) 그 시작은 페르시아에서 온 것이네 我國有俗稱(아국유속칭) 우리나라에도 세속의 칭호가 있는데 恐是赤根訛(공시적근와) 아마 적근의 와전인 듯싶네“ 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 ~ 1708)의 한시(漢詩) “파릉(菠薐, 시금치 ‘파’, 시금치 ‘릉’)”입니다. 한시 가운데는 특이하게도 시금치를 소재로 한 것인데 김창업은 이 시금치를 “시근채(時根菜)”라고 풀이를 달아놓았습니다. 시금치는 페르시아에서 들여온 것으로 파사채, 파사…
악명 높은 파락호 김용환 선생, 건국훈장 받다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손하는 “남해안별신굿”
오늘은 얼레빗 3,500호 그 뜻을 새겨봅니다
오늘은 역사학자이며 독립운동가인 신채호 선생 순국한 날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의문의 죽음 김란사 애국지사, 특별전으로 새롭게 조… 서울교육박물관, 3ㆍ1절을 기념 “김란사 애국지사 특별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연애도 뒤로 하고 유행도 뒤로 하고 빼앗긴 고국 되찾으려 호랑이 사감 되어 다독이던 그 굳은 의지 고종황제와 엄비조…
남자들의 옷 철릭, 실용과 맵시를 더하다 [큐레이터 추천유물 4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고려가사 『정석가(鄭石歌)』에는 ‘무쇠로 철릭을 마라나난’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싸움에 나가는 남편을 위해 철…
중생대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 경남 진주서 9쌍 뒷발자국, 신종 ‘코리아살티페스 진주엔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뜀걸음 형태의 포유류 발자국 화석을…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3] 고맙다
도쿄 릿쿄 대학에서 열린 윤동주 추모회
88살 김세환 옹, 인류 문자 《바른소리 글》을 펴내
윤동주 영혼까지 번역한 우에노 미야코 시인을 찾아…
마더 테레사여, 나는 사랑을 배우고, 사랑했다
아침에 부르는 처용가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4] 냄팥꽃(瑞…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냄팥꽃(瑞香) 즈믄길 간다는데 골 길은 못…

국악 속풀이

더보기
‘박타령’이라고도 부르는 판소… [국악속풀이 303]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판소리 <흥보가>중에서…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 성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히… [맛 있는 일본이야기 388]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히메지성은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입니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의문의 죽음 김란사 애국지사, 특별전으…
섬네일
유태평양의 판소리, 전제덕의 재즈 하모…
섬네일
인간이 지각하는 것 이외의 또 다른 세계…
섬네일
항일여성독립운동가 한국화로 다시 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