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47호) 소털로 만든 제주사람들의 모자 ‘털벌립’

튼씩이 2018. 2. 7. 11:45

한국문화편지

3747호 (2018년 02월 06일 발행)

소털로 만든 제주사람들의 모자 ‘털벌립’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4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제주도 민요 중에 “정의(성읍) 산 앞 큰 애기들은 ‘털벌립’ 만들기가 일쑤로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 쪽에서 ‘털벌립’ 곧 털벙것(털벙거지, 제주도 사투리)을 많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지요. 제주도는 예부터 목축이 발달하여 가축이 유난히 많았습니다. 털벌립은 그런 가축 특히 소의 등에 붙은 진드기 같은 벌레를 ‘부그리글갱이’라는 기구로 긁어낼 때 빠져 나온 털을 모았다가 깨끗이 빨아 말린 뒤 콩풀과 섞어 모자 틀에 눌러서 만든 모자입니다. 언제,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털벙것이 갓…
신라고분에서 왜 ‘광개토대왕’ 기리는 그릇이 나왔나?
모레는 입춘, 우리의 마음에도 입춘축을 붙여 볼까?
장원급제자 16명이 거쳐 간 최고의 연구기관 집현전
정조임금, 왜 정민시에게 칠언율시를 써주었을까?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건과일ㆍ조ㆍ깻잎으로 명절 별미 만들어볼까? 농촌진흥청, ‘2월 이달의 식재료ㆍ조리법’ 소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매달 ‘이달의 식재료’를 선정하고 올바른 농식품 정보와 이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다양하…
[화보] 러시아 귀족들이 산 "발가벗긴 로마의 백인… 국립중앙박물관, <러시아 예르미타시 박물관소장 작품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아주 특별한 전시가 열리고 있어 화제다.그 특별전은 다름아닌 <예르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대한민국건국정신 삼균주의 조소앙 "대한독립선언서 제99주…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우리대한 겨레의 형제자매와 온 세계 우방의 동포들이여!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과 신성한 평등복리를 우리 자…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중국에서 세번째
따뜻한 친구 박물관과 함께 하는 인문학 강의
꿀처럼 달콤한 말인 '밀어', 시어로 표현하면?
다 비워내야만 비로소 나는 너의 것이 되었다
한국의 108산사, 사진집이 되어 세상에 나오다
조선족 민요협회가 마련한 “어울림의 향연”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3] 든 봄(입춘…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 든봄 : 입춘 * 울 : 우리 * 피어얀대 :…

국악 속풀이

더보기
박상옥의 휘몰아치듯 몰아가는 휘… [국악속풀이 353]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017년 무계원 풍류산방 중, 황…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윤동주 시인과 야나기하라 씨와 나 [맛있는 일본이야기 432]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야나기하라 야스코 (楊原泰子, 72살) 씨를 처음…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화보] 러시아 귀족들이 산 "발가벗긴…
섬네일
나는 이런 어른이 되고 싶어요
섬네일
‘종묘제례악’으로 평창올림픽 성공 비…
섬네일
고려 황궁 개성 만월대, 평창에서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