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67호) 오늘은 개구리, 맹꽁이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

튼씩이 2018. 3. 6. 14:15

한국문화편지

3767호 (2018년 03월 06일 발행)

오늘은 개구리, 맹꽁이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676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음력정월이 되고 경칩(驚蟄)시절이 가차우니 이번에는 맹꽁이타령이나 좀 하자. 박춘재(朴春載)의 맹꽁이 타령에는 아랫녁 맹꽁이 웃녁 맹꽁이, 삼청동장원서 다리 밋헤서 빨내하는 과부 맹꽁이 훈련원 오간수 구멍에서 집신작을 타고 안저 한숨 쉬는 홀아비 맹꽁이 남대문 박연못골에(蓮池洞) 나막신 신은 맹꽁...! 등 여러 가지의 맹꽁이가 잇더니 요새에 서울 신문계에는 안맹꽁이와 정맹꽁이가 잇는데 공교하게도 두 맹꽁이가 서로 건너다보는 집에서 일을 보게 되엿다.” 이는 일제강점기 잡지 《별건곤》 제48호 (1932년 02월 01일)에 있는 “호외(號外)의 호외(…
외로운 산에서 연잎옷을 입고 지내려 하네
오늘은 정월대보름, 재미난 세시풍속들
3ㆍ1만세운동의 시작, “원각사터10층석탑”의 탑골공원
조선 초 천문학 수준 세계적임을 증명, 천상열차분야지도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화보] 즈믄해를 지켜온 '삼각산 마애여래입상'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서울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 기슭에는고즈넉한 천년고찰 삼천사(三千寺)가 자리하고 있다.삼천사에는커다란 바위에 새…
같이 나누고 싶은 시들, 정진권의 《한국 한시선》 [양승국 변호사의 세상 바라기 9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그 동안 제가 작년 국제도서전시회 때 사두었던 책을 읽고 나 후의 느낌에 대해 몇 차례 썼었지요? 처음 《조선 선비의…
밥상에 떨어진 밥알 한 알은 슬프다 석화시 감상과 해설 2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 설 > 이 시는 같이 먹는 밥 곧 공식(共食)을 노래하고 있다. 공식은 인류원형(原型)의 하나. 우리는 원시…
무술년(4351)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화주당(化主堂)의 역사와 유래 (1)
2천년 역사의 우리말 땅이름이 사라진다
오늘은 3ㆍ1만세운동의 도화선 도쿄 2ㆍ8독립선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중국에서 세번째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정월 대보름에 듣는 퉁소 시나위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무계원 풍류산방에서 판소리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딸들이 무럭무럭 잘 자라길 바라는… [맛있는 일본이야기 435]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들과 딸이 태어나면 한국에서는 100일째 되는…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옥상텃밭 고추때문에 모두 속마음이 발…
섬네일
의령예술촌, '2018년 봄을 여는 향기전…
섬네일
남산엔 둥근달 떠오르고 퉁소 소리가 에…
섬네일
국립국악원, 명무ㆍ명인ㆍ명창이 꾸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