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66호) 외로운 산에서 연잎옷을 입고 지내려 하네

튼씩이 2018. 3. 5. 15:57

한국문화편지

3766호 (2018년 03월 05일 발행)

외로운 산에서 연잎옷을 입고 지내려 하네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6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人間軒冕斷無希(인간헌면단무희) 인간 세상의 높은 벼슬 단연코 바라지 않았고 惟願江湖得早歸(유원강호득조귀) 오직 강호에 일찍 돌아갈 수 있길 원했네 已向孤山營小屋(이향고산영소옥) 이미 외로운 산에 작은 집을 지었으니 何年實着?荷衣(하년실착기하의) 어느 해에 실로 연잎 옷 입으려나? 이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1587~1671)가 지은 <차운겸보숙장영회이수(次韻謙甫叔丈詠懷二首)>라는 한시입니다. 귀거래(歸去來, 관직을 버리고 귀향함)에 대한 자신의 뜻을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는 시입니다. 흔히 세속인들이 바라는 높은 벼슬에는 관심…
오늘은 정월대보름, 재미난 세시풍속들
3ㆍ1만세운동의 시작, “원각사터10층석탑”의 탑골공원
조선 초 천문학 수준 세계적임을 증명, 천상열차분야지도
자존심 하나로 붓을 놀린 화가 최북의 “풍설야귀인”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3.1만세운동의 선봉장, 행동하는 지식인 '김원벽 선…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김원벽 [1894~1928] 선생은 황해도 은율군 이도면에서 장로교 목사 김태석의 외아들로 태어나 서울소재 경신학교…
견과류·움파·양배추로 새봄맞이 활력 충전 농촌진흥청, ‘3월 이달의 식재료?조리법’ 소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매달 ‘이달의 식재료’를 선정하고 올바른 농식품 정보와 이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다양하…
밥상에 떨어진 밥알 한 알은 슬프다 석화시 감상과 해설 2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 설 > 이 시는 같이 먹는 밥 곧 공식(共食)을 노래하고 있다. 공식은 인류원형(原型)의 하나. 우리는 원시…
무술년(4351)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화주당(化主堂)의 역사와 유래 (1)
2천년 역사의 우리말 땅이름이 사라진다
오늘은 3ㆍ1만세운동의 도화선 도쿄 2ㆍ8독립선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중국에서 세번째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차세대 명창, 신정혜가 부른 ‘범…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5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도 박상옥 명창이 무계원 풍류산방…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딸들이 무럭무럭 잘 자라길 바라는… [맛있는 일본이야기 435]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들과 딸이 태어나면 한국에서는 100일째 되는…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의령예술촌, '2018년 봄을 여는 향기전…
섬네일
남산엔 둥근달 떠오르고 퉁소 소리가 에…
섬네일
국립국악원, 명무ㆍ명인ㆍ명창이 꾸미는…
섬네일
사랑의 국악챔버 “찾아가는 국악콘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