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68호) 태극무늬, 우리 겨레가 고대로부터 쓰던 것

튼씩이 2018. 3. 7. 12:46

한국문화편지

3768호 (2018년 03월 07일 발행)

태극무늬, 우리 겨레가 고대로부터 쓰던 것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6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최근 시위현장에서 태극기가 이념 싸움에 쓰이는 바람에 태극기를 바라보는 눈이 좀 그렇습니다만 엄연히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국기입니다. 2008년 언론에는 독립기념관이 영국국립문서보관서(National Archives)에서 확인, 발굴한 최초의 태극기 원형을 공개했다는 기사가 올랐습니다. 독립기념관이 공개한 최초의 태극기는 1882년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는 배에서 만든 태극기의 원형을 그대로 그린 것으로 크기는 가로 142.41㎝, 세로 115.14㎝, 태극의 지름 81.81㎝입니다. 태극기는 우리가 익히 아는 것처럼 흰 바탕에 빨강과 파랑의 태극무늬가 있고, 네…
오늘은 개구리, 맹꽁이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
외로운 산에서 연잎옷을 입고 지내려 하네
오늘은 정월대보름, 재미난 세시풍속들
3ㆍ1만세운동의 시작, “원각사터10층석탑”의 탑골공원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정월 대보름에 듣는 퉁소 시나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무계원 풍류산방에서 판소리를 열창해 준 신정혜 양의 심청가 중 범피중류(泛彼中流)에 관한 이야기를…
천만부 베스트셀러 책 남긴 혼의 작가 '아이다미츠오… 도쿄 아이다미츠오 미술관을 가다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자신의 꽃 / 이름 없는 풀도 / 열매를 맺는다 / 목숨 가득 / 자신의 꽃을 피워보자 -아이다 미츠오- 이는 일본 독서계의…
무술년(4351)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무술년 한해는 건강하시고 행운만 가득하시기 비손합니다.
화주당(化主堂)의 역사와 유래 (1)
2천년 역사의 우리말 땅이름이 사라진다
오늘은 3ㆍ1만세운동의 도화선 도쿄 2ㆍ8독립선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중국에서 세번째
따뜻한 친구 박물관과 함께 하는 인문학 강의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정월 대보름에 듣는 퉁소 시나위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무계원 풍류산방에서 판소리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평창 올림픽, 누가 누가 잘했나? [맛있는 일본이야기 436]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평창올림픽은 막이 내렸지만 추운 날씨에도 뜨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천만부 베스트셀러 책 남긴 혼의 작가 '아…
섬네일
국립고궁박물관 음악회와 함께 찍는 한…
섬네일
옥상텃밭 고추때문에 모두 속마음이 발…
섬네일
의령예술촌, '2018년 봄을 여는 향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