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79호) ‘소금강산’이라 불리는 명승 <남해 금산>

튼씩이 2018. 3. 22. 08:28

한국문화편지

3779호 (2018년 03월 22일 발행)

‘소금강산’이라 불리는 명승 <남해 금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7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남 남해군 상주면에 가면 명승 제39호 <남해 금산(南海 錦山)>이란 절경이 있습니다. <남해 금산)>은 지리산맥이 남쪽으로 뻗어내려 형성된 산으로 원래 원효대사가 이곳에 보광사라는 절을 지은 뒤 산 이름이 보광산이 되었지요. 그러다가 조선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드린 뒤 왕위에 등극하게 되자 보은을 위해 영구불멸의 비단을 두른다는 뜻으로 비단 금(錦)자를 써 금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영남에서는 금산이 합천의 가야산, 방장산(지리산)과 우열을 겨루고 중국의 남악(南嶽)에 견주기도 했으며, 바다 속의 신비한 명산이…
오늘은 아장아장 봄볕이 걸어오는 춘분
산수유 노오랗게 핀 계절, 산수유차를 마셔볼까?
가죽신을 만드는 장인 ‘화혜장(靴鞋匠)’
동심원, 가면 등이 새겨진 <고령 장기리 암각화>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10권이 나오는 그날까지 귀한 발자국 내딛으소서! [서평] 《서간도에 들꽃 피다》 8, 이윤옥, 도서출판 얼레빗…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이윤옥 시인이 《서간도에 들꽃 피다》 8권을 냈습니다. 이번에도 곽진근, 공백순 등 20명의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우…
매화를 사랑한 신라계 문인, 스가와라노미치자네 [맛있는 일본이야기 436]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학자이자 문인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평소 매화를 사랑한 것으로 유명하다. 오죽 매화를 좋아했으면 세상을…
미주 독립운동과 이민사 모든 것, 민병용의 손 안에 [대담] ‘LA 한인역사박물관’ 민병용 관장을 만나다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40여 년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살면서 언론인으로, 저술가로 미주 이민 역사의 산 증인으로 바쁘게 살아온 로스앤젤…
[포천일기]<7>'비트'로 담그는 핑크빗 물김치와…
무술년(4351)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화주당(化主堂)의 역사와 유래 (1)
2천년 역사의 우리말 땅이름이 사라진다
오늘은 3ㆍ1만세운동의 도화선 도쿄 2ㆍ8독립선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김진무, 마당놀이 무대를 휘어잡는…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59]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퉁소신아우 보존회>…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매화를 사랑한 신라계 문인, 스가… [맛있는 일본이야기 436]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학자이자 문인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독일과 벨기에에 울려 퍼지는 한국 풍류…
섬네일
전라도 천년의 역사, 문화재로 읽는다!
섬네일
'남사당 상설공연' 확 바뀐 내용, 3월 24…
섬네일
사천왕사 녹유신장상, 백년의 기다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