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3월 29일 - 슬슬 다가오는 월 말이 힘들 때 둘, 쌍륙놀이

튼씩이 2018. 3. 29. 08:39

“우리나라 풍습에 바둑, 장기, 쌍륙을 잡기(雜技)라고 부른다. 바둑알은 바닷물에 씻겨 반질반질하게 된 검은 돌과 흰 조개껍데기를 쓰고, 장기의 말은 나무로 차, 포, 마, 상, 사, 졸 등의 말을 깎아 글자를 새기고 색을 칠해 쓴다. 쌍륙은 흑백의 말을 나무로 깎아 뼈로 만들어 쓴다.”



위는 조선 중기의 문인 심수경(沈守慶, 1516~1599)의 수필집 《견한잡록(遣閑雜錄)》에 있는 내용입니다. 쌍륙(雙六)은 지금 거의 잊혔지만 조선 중기에는 바둑, 장기와 어깨를 견줄만한 놀이였습니다. 장기와 바둑은 주로 남성들의 놀이인데 반해, 쌍륙은 여성들도 즐기는 놀이였지요. 쌍륙은 쌍륙판에 말을 놓고, 그 말을 움직여 상대방의 궁에 먼저 들어가는 쪽이 이기는 놀이입니다. 말을 앞으로 가게 하는 방법은 6면체의 주사위 두 개를 던져 나오는 숫자에 따릅니다. 따라서 ‘6면체 주사위가 둘 있다’라는 뜻으로 쌍륙(雙六)이라 한 것이지요.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 시 ‘쌍륙’이 보입니다.


문을 닫고 손의 옷을 끌어당겨 만류하고

閉閤留賓手挽衫

빚은 술을 살며시 잔질하니 쪽처럼 푸르구나

細斟家醞綠如藍

한가히 옥 말판을 가져다가 쌍륙놀이하고

閑呼玉局爭雙六

취하여 비파를 잡고 열세 줄을 희롱하네

醉把朱絃弄十三


이 밖에도 조선왕조실록에도 쌍륙놀이가 나오고 화가 신윤복의 《혜원전신첩》 에도 “쌍륙에 빠지다.”란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쌍륙이 남녀노소, 빈부귀천 가리지 않고 놀던 놀이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가히 옥 말판’으로 망중한을 즐기던 옛사람들을 그려보는 것도 바쁠 때 잠시 즐기는 여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