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35호) 예쁘다는 평가를 받는 “정혜사터 13층석탑”

튼씩이 2018. 6. 8. 07:23

한국문화편지

3835호 (2018년 06월 08일 발행)

예쁘다는 평가를 받는 “정혜사터 13층석탑”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35][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북 경주시 안강읍 정혜사터에는 국보 제40호 “13층석탑”이 있습니다.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1층 탑몸돌이 높이 131㎝, 폭 166㎝, 지붕돌 한 면 길이 284㎝로 그 규모가 크지만 그 위에 놓인 2층 탑신부는 그 넓이가 1층 지붕돌의 6분의 1에도 못 미칠 정도로 급격히 작아져서 2층 이상은 마치 1층탑 위에 덧붙여진 머리장식처럼 보여 남북국시대(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지요. 이 탑은 무려 13층에 이르지만 높이는 어지간한 3층 석탑 정도인 5.9m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 모…
1920년 오늘, 봉오동전투서 독립군 대승 거둔 날
오늘은 발등에 오줌 쌀 만큼 바쁜 망종
기와지붕을 아름답게, 기와 장인 “제와장(製瓦匠)”
한국어 음반으로 세계를 제패한 방탄소년단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간다고 너는 떠나갔지만[석화시 감상과 해설 3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해설 조선족 젊은 시인들의 체험이 농경사회적인 문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아직 해체되지 않…
공주 교촌리에서 무령왕릉과 비슷한 벽돌무덤 확인공주시ㆍ공주대학교 박물관, 백제 벽돌무덤의 새로운 유형 확…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지난 5월부터 공주시와 함께 공주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고 있는 공주 교촌리에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내…
징의 외로움이 담긴 ‘강향란의 징춤’을 보고[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69]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 장인의 이야기를 하였다. “내 몸 이상으로 사랑하지 않고는 명…
애터미런, 건강과 나눔 두 마리 토끼 챙겼다
황룡사, 출토유물 7백점 전시로 새롭게 태어나
“로냥(老娘)”과 “신냥(新娘, 신랑)” / 최영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
천지꽃과 백두산
4대강 사업은 운하를 염두에 두고 추진되었다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버꾸와 하나 되어 신명의 판을 키운…[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하였다…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평생 173권의 저서를 남긴 그림책…[맛있는 일본이야기 446]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깨달았다. 사람을 사귀는 것보다 자기 자…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여류 명창들이 들려주는 적벽대전 속 영…
섬네일
금강산과 관동팔경 새로운 그림 보러갈…
섬네일
민속문화재 홍건익가옥에서 '쉼 음악회…
섬네일
도자 꼭두 인형을 통해 보는 우리의 삶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