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화장실(化粧室)이라고 부르지만 예전에 시골에서는 변소(便所)라는 말을 많이 썼으며 더러는 칙간, 측간, 뒷간, 똥둑간이란 말도 썼습니다. 《삼국유사》 권2 <혜공왕 편>을 보면 “7월에는 북궁(北宮)의 정원 가운데 먼저 별 두 개가 떨어지고 또 한 개가 떨어져, 별 셋 모두 땅속으로 들어갔다. 이보다 앞서 대궐의 북쪽 측간 속에서 두 줄기의 연(蓮)이 나고 봉성사(奉聖寺) 밭 가운데에서도 연이 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국역본에는 ‘측간’으로 번역했으나 원문에는 ‘측청(厠圊)’으로 되어있지요. 여기서 청(圊) 자는 ‘뒷간 청’입니다.
뒷간에 해당하는 한자 이름은 이 밖에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절의 해우소(解憂所)인데 바로 근심을 푸는 곳이란 뜻이지요. 또 서각(西閣), 정방(淨房), 청측(靑厠), 측간(厠間), 측실(厠室), 측청(厠靑), 회치장(灰治粧) 따위가 있습니다. 궁궐 내인들은 ‘급한 데’, ‘부정한 데’, ‘작은 집’이라고도 불렀습니다. 화장실의 우리말 이름은 뒷간인데, 순천 선암사에 가면 아담한 작은 집에 ‘뒤’라고 쓰여 있습니다. 사람들은 어찌 읽나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지만 예전엔 글씨를 오른쪽에부터 썼기에 요즘 식으로 바꾸면 ‘뒤’이 곧 ‘뒷간’이지요.
우리 겨레는 화장실, 곧 뒷간을 단순히 버리는 곳이 아니라 자원순환의 개념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이동범 씨의 《자연을 꿈꾸는 뒷간》을 읽으면 뒷간은 ‘음식→똥→거름→음식’이라는 전통적인 자연순환 방식을 일구는 중요한 자리라고 말합니다.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우리 뒷간의 효용성을 생각해보아야 할 때입니다.
'지난 게시판 > 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8일 -포도가 제철인 백로입니다 (0) | 2018.09.08 |
---|---|
9월 7일 - 정구지와 소풀, 쉐우리와 염지를 아시나요 (0) | 2018.09.07 |
9월 5일 -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사건을 아시나요 (0) | 2018.09.05 |
9월 4일 - 배고프던 시절 구황식물로 목숨을 연명했지요 (0) | 2018.09.04 |
9월 3일 - 가뭄이 들면 임금은 식음을 전폐했습니다 (0) | 201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