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027호) 꽃은 붉은 꽃만 있는 것이 아니네

튼씩이 2019. 3. 5. 08:41

한국문화편지

4027호 (2019년 03월 05일 발행)

꽃은 붉은 꽃만 있는 것이 아니네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27][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毋將一紅字(무장일홍자) ‘홍(紅)’자 한 글자만을 가지고 泛稱滿眼華(범칭만안화) 널리 눈에 가득 찬 꽃을 일컫지 말라 華鬚有多少(화수유다소) 꽃 수염도 많고 적음이 있으니 細心一看過(세심일간과) 세심하게 하나하나 살펴보게나 이 시는 위항도인(葦杭道人) 박제가(朴齊家, 1750 ~ 1805)가 쓴 ‘위인부령화(爲人賦嶺花)’라는 제목의 한시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꽃은 ‘붉다’라는 생각만 가지고 눈에 보이는 모든 꽃들을 판단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박제가는 꽃에도 다양한 빛깔이 있고, 또한 꽃에서 잘 보이지 않는 섬세한 부분인 수염의 경우에는 많은 것도 있…
남녘에 홍매화 피니 바야흐로 봄입니다
탑골공원 독립만세, 순식간에 온 장안에
“남에는 유관순, 북에는 동풍신”
을사늑약 논의한 태화관서 3.1독립선언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화보] 가사문학의 산실, 면앙정·송강정· 환벽…광주호 주변 물가 언덕 위에 지은 정자들-1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무등산을 낀 광주, 담양에는 호수와 계곡의 주변에소쇄원을 비롯한 많은 원림과 정자가 있다. 그 가운데 오늘은 면앙정, 송…
일본-중국 출신 여성도 항일독립운동 나섰다이윤옥의 《서간도에 들꽃피다》, 중ㆍ일 출신 여성독립운동…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철관 기자] 1일 3.1만세운동 100돌을 맞아 중국과 일본 출신 여성독립운동가를 조명한 시집이 눈길을 끈다. 3.1운동(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 독립만세, 순식간에 온 장안에[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25]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신학교 졸업생 정재용이 탑골공원 팔각정 단상에서 독립선언서를 두 손으로 높이 들고 떨리는 목청으로 독립선언서를…
조선의 ‘주의’를 위해 통곡했던 신채호 선생
4000.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천회 맞으며
이완용을 개 취급한 노백린 장군 순국한 날
조선시대 중국 가는 사신들 장 싸들고 갔다
치계미ㆍ도랑탕잔치로 어르신을 받드는 입동
[화보] 대홍수에 사라졌던 북한산성 행궁지 복원중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409. 시창 촉석루(矗石樓) 감상[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409]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 회에는 7언(言) 1구(句)의 한문시는 곳곳…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이짜(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이짜/(사)토박이말바라기 이…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3월 3일은 여자아이들 잔칫날 ‘히…[맛있는 일본이야기 477]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2월도 어느새 가고 머지않아 봄기운을 전하는 3월…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3·1운동 100돌 기림특별전 《동무들아…
섬네일
<윤동주, 달을 쏘다>, 더욱 완성도 높여…
섬네일
3.1절 100돌 기림, 우리의 영웅들을 위하…
섬네일
영주 금강사 터에서 만난 보물” 전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