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106호) 궁궐 전각 처마에는 ‘부시(?)’가 있다

튼씩이 2019. 6. 24. 08:01

한국문화편지

4106호 (2019년 06월 24일 발행)

궁궐 전각 처마에는 ‘부시(?)’가 있다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06][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회루에 많은 들비둘기가 깃들고 있으므로 더렵혀져서 칠을 다시 해야 하는데, 이 폐단은 끝이 없을 것이다. 그러니 ‘철망(鐵網)’을 만들어 둘러친다면 만드는 공력은 쉽지 않겠지만 한번 만든 뒤에는 비둘기가 깃들 수 없을 것이고, 따라서 칠을 해야 하는 비용도 덜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중종실록》 중종 15년(1520년) 12월 18일 치 기록입니다. 경복궁에 가서 근정전을 바라다보니 실록에서 말한 철망 그물이 쳐 있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부시(??)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위 《중종실록》처럼 ‘철망(鐵網)’ 또는 승망(繩網)이라는 말로 등장합니다. 이는…
내일은 하지, 보리ㆍ감자 수확으로 한숨 쉴 때
그림 속의 자리짜기ㆍ물레질 그리고 책읽기
예쁜 송아지, 뒷날 왜 거친 어미소가 되나?
부여 때부터 흰옷 입기를 즐겼던 우리 겨레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배달말 으뜸학자 김수업 교수 1주기 기림굿 열려어제(22), 경남과학기술대학 본관 2층 대강당에서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빗방울 김수업 스승님 그립습니다’ 이는 어제 (22일) 늦은 5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본관 2층 대강당에서 열린 ‘빗방…
문화부, 포스터 영어로 도배된 공연을 추천제나라 말글보다 영어 사랑에 빠진 문화부를 꾸짖는다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발행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문화광장 ? 문화예술공연’ 누리집이 있습니다. 첫화면에는 “오늘의 공연”이 소개되…
올림픽 정신에 어긋나는 평창 올림픽광장 벅수진서대장군과 방어대장군은 중국에서 들어오는 천연두를 막기…
섬네일 [우리문화신문=황준구 민속문화지킴이] 우리의 민속학자들과 미술평론가들이 ‘명품장승’이라고 일컫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돌벅수의 대부분은 중…
백성의 경험방과 사대부의 집단지성 활용
150년 만에 베일 벗은 경복궁 중건역사, 국내 첫 번역…
오희(吳姬)ㆍ월녀(越女)의 부부 이별
다람살라, 이젠 공기청정기가 필요할 수도
토박이말로 아름다운 누리를 꿈꾸는 책 나와
[화보] 창녕 화왕산 용선대가 있는 관룡사(觀龍寺…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이별 별(別)자 낸 사람, 나와 백년…[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424]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춘향가 중에서 춘향과 이도령이 이…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토박이말 맛보기1]-23 거멀못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말 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어제는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임을 하는…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안중근의사기념관 찾은 일본 고려…[맛있는 일본이야기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3.1절은 지났지만 저희는 3.1만세운동 및 대한민…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수천 년을 이어온 우리 옻칠 문화의 모든…
섬네일
낭만적 감성의 <안톤 라이하_레퀴엠>
섬네일
꿈나무들의 진지하고 흥미로운 문화재…
섬네일
다들 편견 하나쯤은 가지고 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