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은 먼동이 트기 전 날이 밝을 무렵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주 이른 새벽은 꼭두새벽이고 아직 어스레한 새벽은 어둑새벽이나 어슴새벽이라고 한다. 요즘은 자정이 지나 아침이 되기 전까지를 새벽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텔레비전 뉴스에서도 새벽 두 시, 새벽 세 시라고 보도를 하는데, 이것은 분명히 잘못이다.
새벽이 되어 날이 막 밝을 무렵, 즉 아침이 시작되는 때를 갓밝이라고 하는데 한자말 여명(黎明)이나 개동(開東)과 같은 말이다. 다른 말로는 해돋이, 밝을녘, 샐녘, 닭이 울 때라 해서 달구리나 닭울녘이라고도 한다. 달구리는 닭울이가 변한 말이다.
아침은 날이 새어서 아침밥을 먹을 때까지, 또는 아침밥을 안 먹는 사람도 있으니까 날이 샌 때부터 시작해 첫 반나절 동안을 뜻하기도 한다. 한겻이라고도 하는 반나절이란 한나절의 반, 한나절은 하루 낮의 반, 낮은 해가 떠 있는 동안을 말하므로, 결국 아침은 낮의 반의 반쯤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아침이 지난 뒤 낮이 오는 것이 아니라 아침과 낮은 동시에 시작되는 셈이다. 아침나절은 아침밥을 먹은 뒤의 한나절을 말하는데, 저녁나절은 저녁밥을 먹기 전의 반나절을 말한다.
정오(正午)를 한낮이라고 하는데, 낮곁은 한낮부터 해질녘까지를 둘로 나눈 그 앞부분의 동안을 뜻한다.
해가 넘어갈 무렵은 해거름이나 해넘이라고 하는데, 저녁은 해는 졌지만 아직 빛이 남아 있는 때를 말한다. 저녁이 다 된 때를 다저녁때라 하고, 저녁이 되어 가게를 닫을 무렵을 들마라고 하는데, 땅거미는 해가 진 뒤 컴컴해지기 전까지 어스레한 동안을 가리키는 말이다. 밤은 해가 진 뒤부터 다시 뜰 때까지를 말하므로, 아침·낮과 마찬가지로 저녁과 밤도 같이 시작된다. 밤 가운데서도 아직 사람들이 깨어 있을 동안을 밤저녁이라고 한다. 자정(子正)은 한밤이다. 하루가 늘 우습게 가는 것 같지만 쪼개 보면 이렇듯 사연이 많다. 게으르게 살지 말아야 할 이유다.
갓밝이 (명) 날이 막 밝을 무렵.
쓰임의 예 – 두 젊은이는 대둔산 서북쪽 계곡을 타고 내려갔다. 초겨울 갓밝이의 냉기가 차갑게 볼을 할퀴었다. (송기숙의 소설 『녹두장군』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들마 – 저녁이 되어 가게를 닫을 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