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372. 신라 명문장가 강수, 대장장이 딸과 야합하다

튼씩이 2016. 8. 26. 16:59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8. 26.



강수가 일찍이 부곡의 대장장이 딸과 야합했는데 금슬이 좋았다. 스무 살이 되자 부모가 중매로 용모와 덕행이 있는 고을 여자와 혼인시키려 하니, 강수가 이를 거절하며 다시 장가들 수 없다고 했다. 아버지가 성내며 “너는 유명해져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미천한 사람을 짝으로 삼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겠는가?”고 했다. 강수가 두 번 절하고 “가난하고 천한 것은 수치스런 일이 아닙니다. 도리를 배우고 실행하지 않는 것이 실로 부끄러운 일입니다. (중간 줄임) 천한 아내를 차마 버릴 수 없습니다.”고 했다.

《삼국사기》 ‘강수 전기’에 나오는 내용인데 강수는 신라 명문장가입니다. 위 글에서 나오는 “야합(野合)”이란 말은 중매를 통한 정식 혼례를 거쳐야 혼인이라고 인정하는데 그런 절차를 밟지 않은 사실혼이나 정상적인 나이의 혼인이 아닌 경우를 말하지요. 따라서 강수의 아버지는 그런 관례에 따라 이루어진 것 곧 야합이라며 대장장이 딸을 인정하지 않고 새로 혼인시키려 한 것이지요. 아버지를 설득하면서까지 자신이 선택한 부인을 버리지 않은 강수이기에 삼국사기에까지 나오나 봅니다.

그럼 예전의 혼인 나이는 어땠을까요? 고려시대에 남자는 13살에서 32살 사이에 혼인했고, 여자는 11살에서 25살 사이에 혼인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고려말로 오면서 일찍 혼인하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이러 현상은 원나라로 처녀 공출 가는 것을 피해 일찍 혼인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의 법전에는 남자 15살, 여자 14살을 혼인연령의 하한으로 정했는데 특별한 경우에 관에 신고하면 12살도 할 수 있었다고 하지요.

옛 얼레빗 (2012-08-28)



2368. 19세기에 해양생물학 백과사전을 쓴 정약전

.


“청어는 한 자 남짓, 물 밖에 오래 있으면 대가리가 붉어지며 척추가 53마디이다.”
“나주 사람들은 분어(홍어)를 삭혀 먹는다. 국은 복결병과 숙취를 내리고 껍질은 뱀에 물린 상처에 붙인다.”

이 글은 1814년(순조 14)에 정약전(丁若銓)이 쓴 ≪자산어보(玆山魚譜)≫에 있는 내용입니다. ≪자산어보≫에는 물고기의 이름과 생김새, 습성뿐 아니라 상세한 쓰임새까지 기록된 책으로 종류만 자그마치 226종이나 되며, 해부를 통해 미세한 뼈까지 세어 기록한 해양생물학 백과사전이라는 평을 듣습니다.

정명현 임원경제연구소장은 "지금 잠수부들이 면밀하게 며칠 동안 잠수를 해야 알 수 있는 것들까지 기록되어있다.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해양생물학 지식을 정리했다는 것이 가장 큰 의미라고 할 수 있다."라고 말합니다. 특히 이 책은 결코 문헌에만 의존한 것은 아니고, 실제로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내용의 충실을 기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히 드러나 있지요.

정약전은 다산 정약용의 둘째 형으로 천주교에 입교한 후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되었고,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역시 정약전은 다산처럼 유배시절의 아픔을 딛고 ≪자산어보≫를 쓰는 큰일을 해냈지요. 어떤 이들은 고통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삶을 마감합니다만 이들 정약전, 약용 형제처럼 아픔을 극복하여 후세의 본보기가 되는 사람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소장 김영조
koya-culture.com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