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김영조)

부끄러움으로 눈물 흘리는 백자 무릎 모양 연적

튼씩이 2021. 10. 23. 09:33

부끄러움으로 눈물 흘리는 백자 무릎 모양 연적

 

 

하늘 선녀가 어느 해 젖가슴 한쪽을 잃어버렸는데 天女何年一乳亡

오늘에 우연히 문방구점에 떨어졌다네 今日偶然落文房

나이어린 서생들이 앞다퉈 손으로 어루만지니 少年書生爭手撫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해 눈물만 주르륵 흘리네 不勝羞愧淚滂滂

 

이름 모를 한 시인이 쓴 연적에 관한 한시(漢詩)입니다. 원래 벼루에 물을 방울방울 떨어뜨리는 쓰임새로 썼던 연적을 선녀의 젖가슴으로 표현하고, 젊은 서생들의 손길에 부끄러워 눈물을 흘린다고 한 묘사가 참으로 기가 막힙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백자 무릎 모양 연적은 아무런 그림도, 무늬도 없는 그야말로 순백의 백자입니다. 그러나 백자 달항아리가 아무런 그림도 조각도 없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처럼, 이 백자 연적도 보는 이를 한참 동안 붙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위쪽에는 물이 들어가스 입수구, 왼쪽 약간 위의 튀어나온 부분이 물을 벼루에 붓는 출수구지요. 이 모양을 보고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쓴 고() 최순우는 한복을 입은 젊은 처자가 한쪽 무릎을 곧추세우고 앉은 모양이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벼루에 물을 따르는 연적 하나에서도 옛사람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