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해설 -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국어 기본법 시행령」은 「국어 기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예) 이 곡은 베르디가 작곡한 「축배의 노래」이다. (예) 사무실 밖에 「해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8
문장 부호 해설 -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7
문장 부호 해설 - 12. 대괄호([ ]) 종전 규정에는 대괄호가 ‘〔 〕’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개정안에서는 ‘[ ]’로 바뀌었다. 개정 이전부터 ‘〔 〕’는 잘 쓰이지 않고 ‘[ ]’가 주로 쓰여 온 것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형태를 ‘[ ]’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 〕’를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이나 편집 등..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6
문장 부호 해설 - 11.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예) 주격 조사 (예) 국가의 성립 요소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는 중괄호를 쓴다. (1) 연극의 3요소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예) 아이들이 모..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5
문장 부호 해설 - 10. 소괄호( ( ) ) (3)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예) 사람의 인격은 (1) 용모, (2) 언어, (3) 행동, (4) 덕성 등으로 표현된다. (예) (가) 동해, (나) 서해, (다) 남해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소괄호를 쓸 수 있다. (8) 입사 지원에 필요한 서류는 (가) 이력서,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3
문장 부호 해설 - 10. 소괄호( ( ) ) (2)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학교에서 동료 교사를 부를 때는 이름 뒤에 ‘선생(님)’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예)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임금이다. 어떤 음절이나 어구가 생략이 가능한 요소임을 나타낼 때는 소괄호를 쓴다. (5) 종묘(제례)악은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2
문장 부호 해설 - 10. 소괄호( ( ) ) (1)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예)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예) 2014. 12. 19.(금) (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앞말에 대한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임을 나타낼 때 소괄호를 쓴다..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1
문장 부호 해설 - 9.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인용한 말 속에 들어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는 작은따옴표를 쓴다. 인용한 말이므로 큰따옴표를 쓸 만하지만, 바깥쪽의 큰따옴표와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0
문장 부호 해설 - 8. 큰따옴표(“ ”) (1)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예) “어머니, 제가 가겠어요.” “아니다. 내가 다녀오마.” (1) “오늘은 어제보다 더 춥구나.” “네, 손발이 꽁꽁 어는 것 같아요.” (2)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예) 나는 “어, 광훈이 아니냐?” 하는 소리에 깜짝 놀랐다. (예)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9
문장 부호 해설 - 7. 빗금(/) (2)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예)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본문에 제시된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