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해설 - 7. 빗금(/) (1)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둘 이상의 어구를 서로 대비해서 보이고자 할 때 빗금을 쓴다. 일반적으로 상위어 또는 상위 개념이 같으면서도..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7
문장 부호 해설 - 6. 쌍점(:) (2)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예) 오전 10:20(오전 10시 20분) (예) 두시언해 6:15(두시언해 제6권 제15장) 시·분·초, 권·장·절, 조·항·호 등을 구별할 때 쌍점을 쓴다. (6) 해 뜨는 시각 7:10:54(7시 10분 54초) (7) 요한복음 3:16(3장 16절) (8) 「국어기본법」 14:1(제14조 제1항) (4) 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6
문장 부호 해설 - 6. 쌍점(:) (1)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예)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예)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예)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예)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표제에 해당하는 항목을 열거하여 보이거..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4
문장 부호 해설 - 5. 가운뎃점(·) (2)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예) 상·중·하위권 (예) 금·은·동메달 (예) 통권 제54·55·56호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예) 상, 중, 하위권 (예) 금, 은, 동메달 (예) 통권 제54, 55, 56호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에는 가운뎃..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31
문장 부호 해설 - 5. 가운뎃점(·) (1)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영희, 선미·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예) 지금의 경상남도·경상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어구들을 낱낱으로 열거하지 않고 일정한 기..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5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7)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내가, 정말 그 일을 오늘 안에 해낼 수 있을까? (예) 이 전투는 바로 우리가, 우리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44) 발 가는 대로, 그는 어느 틈엔가 안전지대에 가서, 자기의 두 손을 내려다 보았다. (45) 구보는, 자기는, 대체, 얼마..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4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6)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예)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어떤 어구가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쉼표를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3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5) (9) 문장 앞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어의 뒤에 쓴다. (예) 돈, 돈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예) 열정, 이것이야말로 젊은이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예) 지금 네가 여기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행복해. (예) 저 친구, 저러다가 큰일 한번 내겠어. (예) 그 사실, 넌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2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4)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예) 지은아, 이리 좀 와 봐. (예) 네, 지금 가겠습니다. 독립 성분은 다른 문장 성분들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지 아니하고 따로 떨어져 있는 성분으로서,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은 대표적인 독립 성분이다. 이런 말 뒤에는 쉼표를 씀으로써 다른 문장 성..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1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3) (5) 문자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예)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예) 저는 신뢰와 정직을 생명과 같이 여기고 살아온바, 이번 비리 사건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예) 떡국은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인데, 이걸 먹어야 비로소 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