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해설 - 21. 줄임표(……) (1)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로써 문장이 끝나는 것이므로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1) 그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성공할지는..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6
문장 부호 해설 - 6. 쌍점(:) (1)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예)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예)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예)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예)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표제에 해당하는 항목을 열거하여 보이거..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4
문장 부호 해설 - 2. 물음표(?) (1)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예) 점심 먹었어? (예) 이번에 가시면 언제 돌아오세요? (예) 제가 부모님 말씀을 따르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 (예) 남북이 통일되면 얼마나 좋을까? (예) 다섯 살짜리 꼬마가 이 멀고 험한 곳까지 혼자 왔다? (예) 지금? (예) 뭐라고? (예)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13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7)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예) 가. 인명 (예) ㄱ. 머리말 (예) Ⅰ. 서론 (예) 1. 연구 목적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마침표를 쓴다. 그리고 문자나 숫자를 붙임표(-)나 마침표 등으로 연결하여 하위 장, 절, 항 등을 표시할 때도 끝에 마침표를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11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6) (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예) 3.1 운동 (예) 8.15 광복 [붙임] 이때는 마침표 대신 가운뎃점을 쓸 수 있다. (예) 3·1 운동 (예) 8·15 광복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는 마침표를..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10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5)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예) 1919. 3. 1. (예) 10. 1.∼10. 12. 글자 대신 마침표로 연월일을 나타낼 수 있다. 즉, ‘1919년 3월 1일’에서 한글로 쓰인 ‘연, 월, 일’을 각각 마침표로 대신하여 ‘1919. 3. 1.’과 같이 쓸 수 있다. ‘일’을 나타내는 마침표를 생략하는 경..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9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4)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예) 집으로 돌아갑시다. (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8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3)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예) 집으로 돌아갑시다. (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7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2)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예) 집으로 돌아갑시다. (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6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1)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예) 집으로 돌아갑시다. (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