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편의 향악이 담긴 『시용향악보』
나례(儺禮)란 민가와 궁중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에 묵은해의 귀신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을 말하는데,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시용향악보』는 향악의 악보를 기록한 악보집으로 1권 1책으로 되어 있지요. 향악(鄕樂)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하던 궁중음악의 한 갈래로, 삼국시대에 들어온 당나라 음악인 당악(唐樂)과 구별되는 한국 고유의 음악을 말합니다. 『시용향악보』에는 악장을 비롯한 민요, 창작가사 등의 악보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가사(歌詞/歌辭)는 모두 26편입니다. 1장에 수록되어 있는 가사 가운데 , 을 비롯한 16편은 다른 악보집에 전하지 않아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 16편에는 순 한문으로 된 , 한글로 된 , 등이 있고, , 과 같이 가사가 아닌 ‘리로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