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49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5항 (2)

[붙임 2, 3] "이것은 책이오.",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다."의 '이오, '이요'는 모두 [이요]로 소리 나더라도 종결 어미로 쓰일 때는 '오', 연결 어미로 쓰일 때는 '요'로 적는다. "이것은 책이오."는 "같이 가오.", "꽃이 예쁘오.", "앉으시오."처럼 어간에 '-오'가 공통적으로 결합한 것이므로..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14항

한글 맞춤법 제1항의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원칙 가운데 '어법'에 해당하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실질 형태소인 체언과 형식 형태소인 조사를 분리하여 적음으로써 체언과 조사의 형태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값[價]'에 다양한 조사가 결합한 형태를 소리 나는 대로 적으..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2)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말이 줄어들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될 때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 경우 뒤의 한자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은 '국련'으로 줄여서 쓸 수 있다. '국제'의 '국..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나는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을 말한다. 이 받침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가 난다. ① 형태소가 뒤에 오지 않을 때: 밭[받], 빚[빋], 곷[꼳] ②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위에 올 때: 밭과[받꽈], 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