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5항 (2) [붙임 2, 3] "이것은 책이오.",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다."의 '이오, '이요'는 모두 [이요]로 소리 나더라도 종결 어미로 쓰일 때는 '오', 연결 어미로 쓰일 때는 '요'로 적는다. "이것은 책이오."는 "같이 가오.", "꽃이 예쁘오.", "앉으시오."처럼 어간에 '-오'가 공통적으로 결합한 것이므로..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9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14항 한글 맞춤법 제1항의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원칙 가운데 '어법'에 해당하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실질 형태소인 체언과 형식 형태소인 조사를 분리하여 적음으로써 체언과 조사의 형태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값[價]'에 다양한 조사가 결합한 형태를 소리 나는 대로 적으..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6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2)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말이 줄어들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될 때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 경우 뒤의 한자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은 '국련'으로 줄여서 쓸 수 있다. '국제'의 '국..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3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제10항~제12항에서는 국어의 두음 법칙을 규정하였다.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녀, 뇨, 뉴, 니'를 포함하는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ㄴ'이 나타나지 못하여 '여,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되는데, 이 조항에서는 이러한 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1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9항 표준 발음법 제5항에서는 'ㅢ'의 발음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①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닐리리] 씌어[씨어] 유희[유히] ②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이]로, 조사 '의'는 [에]로 발음할 수 있다. 주의[주의/주이]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8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나는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을 말한다. 이 받침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가 난다. ① 형태소가 뒤에 오지 않을 때: 밭[받], 빚[빋], 곷[꼳] ②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위에 올 때: 밭과[받꽈], 젖..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6
제2장 자모 제4항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붙임 1]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3
제1장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 해설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을 밝히고 있다.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가 기본 원칙이라면, "어법에 맞도록 함"은 또 다른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0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머리말 1988년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 개정되면서, 국립국어원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국어연구소에서는 '한글 맞춤법 해설', '표준어 규정 해설'(이하 '해설')을 함께 내놓았습니다. '해설'은 '한글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의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동시에 규정 본문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