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해설 - 12. 대괄호([ ]) 종전 규정에는 대괄호가 ‘〔 〕’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개정안에서는 ‘[ ]’로 바뀌었다. 개정 이전부터 ‘〔 〕’는 잘 쓰이지 않고 ‘[ ]’가 주로 쓰여 온 것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형태를 ‘[ ]’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 〕’를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이나 편집 등..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6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5)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예) 1919. 3. 1. (예) 10. 1.∼10. 12. 글자 대신 마침표로 연월일을 나타낼 수 있다. 즉, ‘1919년 3월 1일’에서 한글로 쓰인 ‘연, 월, 일’을 각각 마침표로 대신하여 ‘1919. 3. 1.’과 같이 쓸 수 있다. ‘일’을 나타내는 마침표를 생략하는 경..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9
11월 4일 -조선어학회가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했습니다 우리 겨레는 세종 큰 임금이 만들어주신 세계 최고의 글자, 한글을 누리며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처럼 자유자재로 한글을 쓸 수 있는 것은 한힘샘 주시경 선생과 일제강점기의 조선어학회 그리고 해방 뒤의 외솔 최현배 선생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문제는 훈민정음이..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1.04
10월 13일 - 위대한 글자 한글 다섯, 반대세력을 이겨낸 훈민정음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것은 당시로는 정말 대단한 일이었습니다. 부제학 최만리를 비롯한 집현전 학자 대부분은 물론 나라의 바탕인 사대부들이 거의 새로운 글자 창제를 적극적으로 반대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나라를 세운 지 50여 년밖에 되지 않아 조정에서는 명나라의 눈치를 봐..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13
10월 12일 - 위대한 글자 한글 넷,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한글은 세종이 28자를 반포할 1446년 당시는 훈민정음이라 불렸습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글이란 뜻이겠지요. 그런데 이 '훈민정음'이 왜 '한글'로 불리게 되었을까요? 훈민정음은 반포 이후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고도 불렸으며, 한편에서는 가갸..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12
7월 27일 - 우리말 문법을 최초로 정리한 주시경 선생 “길고 긴 나의 학해(學海, 학문의 바다) 여정에서 직접 간접으로 나의 나아갈 길을 지도해주신 스승이 적지 아니하였지마는, 그중에서 나에게 결정적 방향을 지시하였고, 따라 나의 추모의 정한을 가장 많이 자아내는 스승님은 조선 청년이 누구든지 다 잘 아는 근대 조선어학 최대의 공..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07.27
(얼레빗) 3402. 한글이름이 아니라 우리말(토박이말)이름 이어야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02 “이름 높다는 사람들이 ‘우리말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말이며……’ 어쩌고 하는 소리를 한다. 우리말이든 남의 말이든 말은 어느 것이 더 과학적이고 어느 것이 덜 과학적이라고 ..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0.10
한글은 한자음을 적기 위한 창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 그래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이것을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5.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