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 2096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 - 문명과 문화, 같은 듯 다른 쓰임새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 문화가 세계에 널리 알려지고 있다. 시작은 방탄소년단(BTS)의 미국 시장 진출이었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에 뒤이어 영화 ‘기생충’, ‘미나리’가 아카데미상을 휩쓸더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하며 세계인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이러한 흐름을 타고 한국 음식 문화 역시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신라면, 초코파이, 떡볶이 등을 맛있게 먹는 외국인들의 모습은 이미 낯설지 않다. 다양한 한국 문화와 더불어 한국인의 의식주에 세계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기이다. ‘문화’란 어떤 사회 집단이 오랜 시간 동안 형성하여 서로 공유하는 가치관과 행동 양식을 가리킨다.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그렇다면 문화와 비슷한..

한글 맞춤법 차례차례 알아보기 - '쓰여, 씌어'는 맞지만 '씌여'는 틀리다

이번 호에서는 제36항부터 제38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규정은 지난 호에서 다룬 모음 충돌 회피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국어에서는 모음 ‘ㅣ’(i)와 ‘ㅓ’(ə)가 연이어 나오면 ‘ㅣ’가 반모음(j)으로 바뀌어 두 음절이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경우(i+ə→jə)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줄어든 대로 적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ㅣ’는 그대로 둔 채 ‘ㅓ’만 ‘ㅕ’로 바꾸어 적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대체로 잘못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었다’로 적어야 할 것을 ‘*사람이였다’로 적거나, ‘(꽃이) 피었다’를 ‘*피였다’로 적는 것은 잘못입니다. ‘사람이었다’는 더 이상 줄여 쓸 수가 없고, ‘피었다’는 ‘폈다’로 줄여 쓸 수는 있습니다. ‘(반지를) 끼다’는 ‘끼어→껴, 끼었다→꼈다..

국어로 바라보기 - '국어'의 초석을 놓은 고종과 주시경

한글, 드디어 ‘국문’이 되다 1894년(고종 31) 11월 21일, 한글은 우리나라의 공식 문자가 된다. 창제된 지 약 450년 만이다. 고종은 칙령을 내려 법률과 칙령은 모두 국문(國文)을 기본으로 하고, 한문(漢文)으로 번역하거나 혹은 국한문으로 섞어서 쓸 것을 규정했다. 공문서를 기본적으로 한글로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한문 번역을 덧붙이거나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쓴다는 원칙을 천명한 것이다. 그리고 얼마 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홍범 14조를 한글, 한문, 국한 혼용문의 세 가지로 작성하여 발표함으로써 한글 본위로 공문서를 작성한다는 원칙을 실행했다. 그동안 한글은 일반 백성 사이에서는 널리 쓰였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언문(諺文, 상말을 적는 문자라는 뜻으로, 한..

이제 한글도 한류 열풍에 탑승, ‘#한국풍’인기의 비결

일본에서의 한국어 열풍 일본에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어 열풍이 불고 있다. 단순히 자주 쓰이는 한국어 관용어를 가타카나로 바꾸어 쓰는 정도는 이전에도 자주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누리 소통망에 아예 한글로 글을 써서 올리고 있다. ‘꿀잼’, ‘멘붕’, ‘ㅋㅋ’, ‘ㅊㅋㅊㅋ’ 등과 같은 한글 은어부터 초성을 활용한 감정표현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한국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일본 대학생 중에는 누리소통망의 한글이 의미를 알 수 없는 표현이라 반감이 생긴다는 부정적 여론도 존재했다. 그럼에도 식을줄 모르는 한국어 열풍으로 일상 생활에서 한국어를 활용하거나 한국어를 유창하게 활용하는 사람이 긍정적 평가를 받는 등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어를 누리 소통망에 활용할 때 세련되고 유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