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41호

튼씩이 2016. 12. 6. 18:45

한국문화편지

3441호 (2016년 12월 06일 발행)

독특한 무늬의 신석기시대 덧무늬 토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41]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부산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가면 “귀때 달린 덧무늬토기[토기융기문발(土器隆起文鉢)]”가 있습니다. 이 토기는 부산 영선동 조개무지(貝塚, 패총)에서 출토된 것으로 신석기시대 그릇입니다. 바탕흙이 점토질인데 황갈색을 띠며, 아래쪽으로 내려올수록 서서히 검은빛이 보이고, 바닥이 둥근 모양이지요. 그 크기는 높이 12.4㎝, 지름 16.4㎝로 보물 제59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 이 토기는 아가리(구연부, 口緣部) 한 쪽에 주전자 부리처럼 짧은 귀때가 붙어 있어 내용물을 담아 따르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아가리 아랫부분에는 솟…
나랏일엔 왕자라도 예외가 없이 엄격했던 홍흥
봉황무늬가 새겨진 백제의 무늬벽돌 보셨나요?
여운형, 조선은 한일병탄으로 원한이 뼈에 사무쳤다
유자, 조선시대 사신에 선물로 줄 정도로 귀한 것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나랏일엔 왕자라도 예외가 없이 엄격했던 홍흥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40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성종 때 한성부 좌윤 홍흥(洪興, 1434∼1501)은 나랏일을 하는데 엄격하기로 소문이 났습니다. 하지만 그는 미천한 백…
[시가 있는 풍경 38] 제주 성산포의 고동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명호 시인] 제주 성산포에서 물 빠진 바위틈에 고동들 모여 있다 다르면 밀어내는 지상과 다르구나 파도와 더불어 사는 그대…
극한 환경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슴베찌르개 [큐레이터 추천유물 3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슴베찌르개(有莖尖頭器, Tanged point)는 돌날이나 긴 박편(剝片, 돌 조각)을 이용하여 슴베[基部, 칼, 괭이,…
바다의 어멍(엄마),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올랐다
[화보] 이름모를 절에 당당했던 고려 금동보살좌상
서로 통하지 못하면 불행합니다
장애인들이 만든 '행복장터'는 행복했다
유개고배?, "뚜껑있는 굽다리 접시"가 훨씬 좋아
삼인삼색, 박준영의 배뱅이굿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292] 암염소별…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암염소별자리 마쪽에 높별이 그뒤쪽에 말몰…

국악 속풀이

더보기
일제강점기 대중을 울리고 웃기던… [국악속풀이 292]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 이어 서도소리 중 배뱅이굿 관련 이…

일본 이야기

더보기
한국의 절과 다른 일본의 오장육부… [맛있는 일본이야기 378]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교토 사가(嵯峨) 지방의 세료지(淸凉寺)에는 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유네스코 등재 기념, 제주해녀의 삶과 문…
섬네일
우리 삶을 노래했던 전국 아리랑이 한자…
섬네일
수원 한국서예박물관, ‘한국 여성 서예…
섬네일
따뜻한 연말을 선사할 송년 음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