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호

튼씩이 2017. 3. 3. 09:33

한국문화편지

3507호 (2017년 03월 03일 발행)

임진왜란 이전 중치막을 볼 수 있는 출토복식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 사람들이 입었던 옷은 지금 남아 있는 것이 없어서 문헌이나 벽화에 남아 있는 그림 따위로 짐작할 따름입니다. 다만, 옛 사람들의 무덤에서 옷들이 출토되면 그거야말로 소중한 자료입니다. 그 가운데 지난 2006년 경북 문경시 영순면에 있는 전주최씨 무덤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로, 현재 문경새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제259호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 (聞慶 崔縝一家墓 出土服飾)”도 그 하나입니다. 최진(崔縝)과 그 부인의 무덤, 그리고 후손으로 추정되는 무덤 등 3기에서 출토된 유물은 모자, 중치막(벼슬하지 아니한 선비가 입…
영조임금 어머니 묘소를 그린 소령원도(昭寧園圖)
‘단산오옥’ 글씨 새겨진 고려 먹, 가장 오래된 명품
“김영란법”,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페르시아에서 들어온 시금치, 조선 때 “적근채”라고 했다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굿”은 우리 겨레의 남다른 제사며 잔치다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4] 굿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굿’을 “여러 사이 모여 떠들썩하거나 신명 나는 구경거리”라고 풀이한 다음에, “…
“엄마가 해준 이불 덮고 싶다”, 짓밟힌 소녀들의 이… 꼭 봐야할 ‘위안부’ 피해자들 영화, 김새론ㆍ김향기 주연 <…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17년 2월 현재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9명 가운데 생존자는 국내 거주 38명, 나라밖 거주 1명뿐…
너무나 초라한 관심, 여성독립운동가를 기억하라 3ㆍ1만세운동 98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에 외치는 쓴소리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내가 죽는다고 조금도 어쩌지 말라. 내 평생 나라를 해 한 일이 아무 것도 없음이 도리어 부끄럽다. 내가 자나 깨나 잊…
고종황제 백성과 이별하는 날 모습
김란사 애국지사, 죽음 98년 만에 본명 되찾다
추사 친필 ‘노설첩’ 등 고문헌 수천 점 찾아 공개
[시가 있는 풍경 45] 진도에서
[화보] 경주 감포 앞바다에서 이른 봄 바람을 맞다
남자들의 옷 철릭, 실용과 맵시를 더하다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4] 냄팥꽃(瑞…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냄팥꽃(瑞香) 즈믄길 간다는데 골 길은 못…

국악 속풀이

더보기
흥보가 돈타령, 빠른 휘몰이 장단… [국악속풀이 304] 판소리 흥보가 이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흥보가가 주는 교훈적인 이야기…

일본 이야기

더보기
여자아이들의 잔칫날 ‘히나마츠… [맛있는 일본 이야기 389]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3월 3일은 여자아이가 있는 집안의 잔칫날인 “…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엄마가 해준 이불 덮고 싶다”, 짓밟힌…
섬네일
따듯한 봄기운 만끽하며 즐기는 국가무…
섬네일
고종황제 백성과 이별하는 날 모습
섬네일
김란사 애국지사, 죽음 98년 만에 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