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9호

튼씩이 2017. 3. 21. 09:15

한국문화편지

3519호 (2017년 03월 21일 발행)

“농경문 청동기”에 새겨진 그림은 무엇일까…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1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청동기시대ㆍ초기 철기시대(서기전 3세기경) 무렵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보물 제1823호 “농경문 청동기(農耕文靑銅器)”가 있습니다. 한 면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한 면에는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긴, 의례 때 사용하는 도구로 여겨지는 유물입니다. 크기는 남은 길이 7.3㎝, 너비 12.8㎝, 두께 1.5㎜입니다. 아랫부분이 떨어져 없어졌으나 같은 시기의 다른 청동기와 달리 당대의 생업과 종교의식을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과 정교하게 만들어 문화사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지요. 남성이 밭을 일구는 모습은…
오죽헌에 집을 지어 모시고 있는 율곡의 벼루
조선시대 백성들은 가마니옷과 종이옷도 입었다
오직 먹으로만 그려 담백한 오달제의 <묵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굴산사터 당간지주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나무꾼과 선녀 [연변조선족문학창 / 석화시 감상과 해설 5]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나무꾼과 선녀 선녀를 돌려주세요 선녀를 돌려주세요 어림도 없는 말, 제 발로 아니 제 날개로 훨훨 날아간 선녀를 누가…
강릉 경포 누마루에 올라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경포 누마루에 올라 - 이도희 은빛물결 일렁이는 경포 호수 바라보며 누마루에 신 벗고 앉아 사방 둘러보니 몇 안…
영어 때문에 발생한 비용의 1/10만 사용했더라면... 언어 속에는 정신과 민족혼이 깃들어 있는 것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정운복 기자] 강원도 양구여자고등학교 정운복 교사의 글을 연재합니다. 교육자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깨끗한 눈으로 글을 씁니다. 길…
시장 모퉁이에 찾아드는 봄, 강릉전통시장
[시가 있는 풍경 46]길 고양이 가족
정신을 차려, 삶의 과녁을 겨냥하여 내달리는 ‘깨닫…
윤동주를 만나러 세종미술관에 가자
[화보] 대한민국의 오늘! 탄핵 마무리 축제현장에…
수정전(壽靜殿) 현판에서 읽는 창덕궁 대비전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7] 평지꽃(유…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평지꽃(유채꽃) 노오란 평지꽃 봄바람 타…

국악 속풀이

더보기
동생에게 나는 5대차 독신이라고… [국악 속풀이 307]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흥보가 굶고 있는 식솔들을 살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동북 지방의 볼만한 축제 '아오모… [맛 있는 일본 이야기 39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오모리(青森)의 여름 행사로 유명한 네부타 마…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허를 찌르는 반전! 고선웅ㆍ이자람의 ‘…
섬네일
장흥군, '이청준의 서편제' 소리춤극으로…
섬네일
고궁에서 만나는 우리 음악 ‘감(感) 흥…
섬네일
타 예술장르와의 일탈을 꿈꾸는 국립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