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64) 3ㆍ1만세운동의 시작, “원각사터10층석탑”의 탑골공원

튼씩이 2018. 3. 1. 09:49

한국문화편지

3764호 (2018년 03월 02일 발행)

3ㆍ1만세운동의 시작, “원각사터10층석탑”…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6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99년 전 오늘(1919년 3월 1일)은 서울 탑골공원에서 3ㆍ1만세운동이 시작된 날입니다. 이 탑골공원은 서울에 조성된 최초의 공원이라고 하지요. 이 일대는 탑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탑골 또는 탑동으로 불렸으며, 그 탑은 다름이 아니라 국보 제2호 “원각사터10층석탑”입니다. 이곳에는 고려시대부터 흥복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유교를 유일한 지배이념으로 삼고 불교를 배척하는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에 따라 태종이 흥복사를 없애버렸습니다. 그러나 세조는 는 흥복사 자리에 절을 세우고 원각사라 바꿔 불렀지요. 그뿐만이 아니라 온 나라에서 구리 5만…
조선 초 천문학 수준 세계적임을 증명, 천상열차분야지도
자존심 하나로 붓을 놀린 화가 최북의 “풍설야귀인”
겨울철 눈 쌓인 산에서 유용하게 썼던 '설피'
80개의 풍경소리가 아름다운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일본군의 조선인 ‘위안부’학살 영상 첫 공개, 서울… 아·태전쟁 패전 직전 중국 등충서 학살 뒤 버려진 모습 19초…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한영 기자] # 아시아?태평양전쟁이 패전으로 치닫던 1944년 6월, 미·중 연합군(Y군)은 중국 송산과 등충에 주둔해있던 일본군…
당신의 얼굴은 어떻습니까? [허홍구 시인의 세상 읽기 41]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깊은 물속은 알아도 사람의 속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세상의 일뿐만 아니라 사람의 맘도 시시때때로 바뀌는 것이다 선…
밥상에 떨어진 밥알 한 알은 슬프다 석화시 감상과 해설 2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 설 > 이 시는 같이 먹는 밥 곧 공식(共食)을 노래하고 있다. 공식은 인류원형(原型)의 하나. 우리는 원시…
무술년(4351)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화주당(化主堂)의 역사와 유래 (1)
2천년 역사의 우리말 땅이름이 사라진다
오늘은 3ㆍ1만세운동의 도화선 도쿄 2ㆍ8독립선언…
항일독립선언서의 효시가 된 "대한독립선언" '99주년…
주홍콩 한국문화원 개원, 중국에서 세번째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차세대 명창, 신정혜가 부른 ‘범…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5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도 박상옥 명창이 무계원 풍류산방…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딸들이 무럭무럭 잘 자라길 바라는… [맛있는 일본이야기 435]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들과 딸이 태어나면 한국에서는 100일째 되는…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한국의 호랑이 대표 13 작품 가상현실로…
섬네일
국립고궁박물관, 상설 왕실의례실·궁중…
섬네일
한강 안의 작은 섬 “밤섬마을 배 목수,…
섬네일
무형문화재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