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44호) 세상에 도둑이 날뛰지만 나는 걱정이 없네

튼씩이 2018. 6. 27. 00:27

한국문화편지

3844호 (2018년 06월 21일 발행)

세상에 도둑이 날뛰지만 나는 걱정이 없네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44][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姦?無常産(간귀무상산) 간사한 도둑들은 일정한 직업이 없는 데다 飢荒又一時(기황우일시) 기근과 가뭄이 올해도 이어지는 때라서 近村聞警急(근촌문경급) 이웃 마을의 위급한 소식 들어보니 相識有創夷(상식유창이) 알고 지내는 이들도 약탈을 당했다네 自幸囊中淨(자행낭중정) 다행이려니 주머니 속이 깨끗하니 應無棟上窺(응무동상규) 응당 대들보 위에서 엿보는 사람 없으리라 穿墉何足?(천용하족책) 좀도둑들이야 어찌 죽일 게 있으리 城社有狐狸(성사유호리) 도성과 종묘에 여우와 살쾡이 있으니 <도(盜, 도둑질)>라는 제목의 이 시는 조선 중기…
시원시원한 느낌을 주는 탄은 이정의 “통죽(筒竹)”
한옥에서 필수품이었던 “발” 만드는 “염장”
오늘은 단오, 이웃에 부채를 선물할까?
별자리를 점으로 새겨 넣은 “금동천문도”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2019년 3.1만세운동 100주년을 준비하는 일본인들[맛있는 일본이야기 44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일본인에게 3.1만세운동정신을 알리기 위한 전시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이번 한국…
상습 가뭄지역에서 먼 곳에 있는 ‘4대강 보’환경이야기 21. 4대강 사업 무엇이 문제였나?-(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상훈 교수] 많은 국민은 여행 중에 4대강을 지나치면서 보에 물이 가득 차있는 것을 보고서 “저 물을 이용하면 가뭄은 해결 되겠구…
징의 외로움이 담긴 ‘강향란의 징춤’을 보고[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69]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 장인의 이야기를 하였다. “내 몸 이상으로 사랑하지 않고는 명…
애터미런, 건강과 나눔 두 마리 토끼 챙겼다
황룡사, 출토유물 7백점 전시로 새롭게 태어나
“로냥(老娘)”과 “신냥(新娘, 신랑)” / 최영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
천지꽃과 백두산
[화보] 진주 고찰 월아산 청곡사의 오월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장월중선 명창을 잇는 가야금 병창…[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2]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2019년 3.1만세운동 100주년을…[맛있는 일본이야기 448]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일본인에게 3…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단청장이수자 김석곤 입문 30돌 기념전…
섬네일
고궁 음악회로 더위에 지친 일상에 쉼표…
섬네일
한국화가 종정분, “사랑이 머무는 곳“…
섬네일
천 번의 손길을 거친 수제화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