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51호) 고구려 불상이 왜 의령지방에서 출토되었을까

튼씩이 2018. 7. 3. 14:07

한국문화편지

3851호 (2018년 07월 02일 발행)

고구려 불상이 왜 의령지방에서 출토되었을까…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51][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963년 경상남도 의령에서는 강 아무개 씨가 마을 앞 돌밭에서 공사에 쓸 자갈을 거두던 중 가로 40cm, 세로와 높이 각 30cm가량 되는 석실 하나를 발견합니다. 그 석실 안에는 작은 불상 하나가 놓여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이 이 불상 광배 뒷면에 쓰인 47자의 글씨를 감정한 결과 이 불상은 평양에 있던 절 동사(東寺)의 승려들이 만들었던 불상 가운데 29번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글자 가운데 “연가(延嘉)”는 고구려가 홀로 쓴 연호로 보이며, 만든 때는 고구려 안원왕 때인 539년으로 짐작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구려의 국경선이 의령까지 내려온 적은 없었고…
똥보다 더러운 친일 주지를 호통한 한용운 선생
비례와 무늬가 아름다운 “상감연화문 편병”
중국인들, 비린내로 고려인 알아봤다
오늘은 김구 선생, 경교장에서 암상당한 날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독립투사 최재형의 삶을 그린 뮤지컬 '페치카' 공연전문예술단체 "랑코리아"의 창작 뮤지컬 <페치카> 갈라콘서트…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전문예술단체 "랑코리아"의 창작 뮤지컬 <페치카> 갈라콘서트가 7월 5일 (목) 저녁 7시 30분 서울 여의도KB…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7곳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우리나라 13번째 세계유산,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 한성훈 기자]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지난 6월 24일부터 바레인 마나마에서 열리고…
병창은 소리와 가야금 연주력이 함께 뛰어나야[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병창 분야의 연주활동을 해 오고 있는 임종복의 활동상에 관한 이야기…
우리집 “데릴사위” / 전옥선
애터미런, 건강과 나눔 두 마리 토끼 챙겼다
황룡사, 출토유물 7백점 전시로 새롭게 태어나
“로냥(老娘)”과 “신냥(新娘, 신랑)” / 최영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
천지꽃과 백두산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병창은 소리와 가야금 연주력이 함…[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3]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조선총독부 건물 잔해를 본 일본인…[맛있는 일본이야기 449]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여기 어딘가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해체하여 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독립투사 최재형의 삶을 그린 뮤지컬 '페…
섬네일
독립투사 최재형의 삶을 그린 뮤지컬 '페…
섬네일
아쟁의 정미정, 아쟁과 재즈의 환상적인…
섬네일
조선왕실 아기씨의 탄생과 태항아리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