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54호) 한강에 맨 처음 놓인 한강철교, 올 118살 돼

튼씩이 2018. 7. 5. 10:02

한국문화편지

3854호 (2018년 07월 05일 발행)

한강에 맨 처음 놓인 한강철교, 올 118살 돼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54][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해 말 서울 한강에 30번째 다리인 구리암사대교가 개통됐습니다. 지금 공사 중인 월드컵대교가 2020년 완공되면 한강을 가운데 두고 서울의 남북이 무려 31개의 다리로 하나가 됩니다. 그런데 이 많은 다리 중 가장 먼저 놓은 것은 사람이나 자동차가 다니는 인도교가 아니라 기차 전용 한강철교입니다. 한강 북쪽 용산역과, 한강 남쪽 노량진역을 잇는 길이 1,110m의 이 한강철교는 1900년 오늘(7월 5일)에 처음 개통되었으니, 올해로 그 나이가 118살이 되었습니다. 한강철교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경인선 철도를 개통하기 위해서 놓은 다리입니다. 경인선을 개통…
손가락으로 그린 거친 그림 지두화(指頭畵)
서해의 해금강 “두무진”을 보셨나요?
고구려 불상이 왜 의령지방에서 출토되었을까?
똥보다 더러운 친일 주지를 호통한 한용운 선생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내년, 3.1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을 위한 출…어제 7월 3일, 문재인 대통령등 참석 , 구서울역사에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19년 3월 5일아침 9시, 수천 명의 학생들이 남대문역(지금의 서울역) 역전에 집결하였다. 이들 학생들이 남대문역…
행당동 아기씨당 (1) - 역사적 유래와 명칭양종승의 무속신앙 이야기 22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양종승 박사] 행당동 아기씨당에 대한 역사적 유래 또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그 실체를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
병창은 소리와 가야금 연주력이 함께 뛰어나야[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병창 분야의 연주활동을 해 오고 있는 임종복의 활동상에 관한 이야기…
우리집 “데릴사위” / 전옥선
애터미런, 건강과 나눔 두 마리 토끼 챙겼다
황룡사, 출토유물 7백점 전시로 새롭게 태어나
“로냥(老娘)”과 “신냥(新娘, 신랑)” / 최영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
천지꽃과 백두산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나이 들수록 시조창과 가깝게 지내…374. 서한범 교수의 우리 음악 이야기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임종복의 <가야금병창>…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한국인들에게 끊임없이 사과하는…[맛있는 일본이야기 450]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난 6월 30일 저녁 7시 반 무렵, 저녁을 먹고 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차세대 전승자들의 무대, ‘2018 이수자…
섬네일
'색, 서울을 물들이다' 전시회 열어
섬네일
일본인들이 고발하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섬네일
독립투사 최재형의 삶을 그린 뮤지컬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