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내에 물이 주니
천렵을 하여 보세. 해 길고 잔풍하니
오늘 놀이 잘되겠다. 벽계수 백사장을
굽이굽이 찾아가니 수단화(水丹花) 늦은 꽃은
봄빛이 남았구나. 촉고를 둘러치고
은린옥척(銀鱗玉尺) 후려내어 반석에 노구 걸고
솟구쳐 끓여내니 팔진미 오후청(五候鯖)을
이 맛과 바꿀소냐
이 내용은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4월령〉에 있는 천렵(川獵)을 소개한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천렵을 “주로 여름철에 남자들이 냇물이나 강가에 그물을 치고 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먹는 것”쯤으로 알고 있는데 위 《농가월령가》 <4월령>에서 볼 수 있듯이 여름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며 일반 백성만이 즐기던 것도 아니었지요. 《태종실록》 7년(1407)에 보면 임금은 완산 부윤(完山府尹)에게 전지를 내려 회안대군(懷安大君)의 천렵을 허락하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 왕실에서도 천렵을 즐긴 것으로 보입니다.
물고기만 잡았던 것도 아닙니다. 1929년 8월 1일자 《별건곤》 22호에 김진구의 《팔도 기행문》을 보면 “安州名物(안주명물)로는 도야지갈비 불고기이지만 그것보담도 ‘三伏中(삼복중)의 닭 川獵(천렵)’일 것이다”라는 글이 보입니다. 또 “청천강가에 川獵하는 安州(안주)의 녀름은 하로 동안에 닭의 죽는 수가 수백 마리식 된다니 한 녀름 동안에 죽어내는 닭의 수가 그 얼마나 되겟는가?”라는 말로 미루어 강가에서 닭을 잡는 천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이든 닭을 잡든 천렵은 들로 냇가로 나가 이웃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누면서 시를 읊거나 노래를 부르며 즐거운 한때를 보낸 것이지요. 요즘도 시골 냇가에서 천렵하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지난 게시판 > 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2일 - 일본 불임여성 가운데서 황태자비를 정하라! (0) | 2018.08.03 |
---|---|
8월 1일 - 연주자와 청중이 하나로 녹아드는 풍물굿에 빠져봅니다 (0) | 2018.08.01 |
7월 30일 - 눅진 여름, 슬기로운 포쇄별감이 통풍으로 국보를 지키고 있습니다 (0) | 2018.07.30 |
7월 29일 - 갓 베어낸 푸른 대나무 구워 붉은 술을 만듭니다 (0) | 2018.07.29 |
7월 28일 - 있는 놈과 없는 놈의 여름나기 알아볼까요 (0) | 201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