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132호) 한여름 밤, 도깨비와 함께 막걸리를

튼씩이 2019. 7. 30. 18:40

한국문화편지

4132호 (2019년 07월 30일 발행)

한여름 밤, 도깨비와 함께 막걸리를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32][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새 집으로 이사 온 밤. 비 오고 바람 불고 천둥 하던 밤. 뒷산에 뒷산에 도깨비가 나와, 우리 집 집웅에 돌팔매 질 하던 밤. 덧문을 닫고 이불을 쓰고, 엄마하고 나하고 마조 앉어, 덜덜 떨다가, 잘랴고 잘랴고 마악 들어누면, 또, 탕 탕 떼구루루-퉁! 위는 잡지 《동광》 제39호(1932)년 11월 01일)에 실린 윤석중의 동화시 “도깨비 열두형제”입니다. 열대야 때문에 잠을 못 이루는 한여름입니다. 이때쯤이면 어릴 적 긴긴 여름밤에 모깃불 놓고, 옥수수를 쪄먹으며 옛날이야기, 도깨비 이야기 따위를 듣던 일들이 생각이 납니다. 도깨비 이야기에서 나오는 도깨비 모습을 보면…
'훈민정음 해례본' 지켜낸 독립운동가 전형필
등잔 밑에서 공부도 하고 바느질도 하고
‘풍물굿’과 ‘사물놀이’는 분명 다른 장르
민 노인 덕에 우울증 극복한 연암 박지원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진흥왕 척경비와 석빙고도 있어 ‘작은 경주’라 불려 사…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 - 이 달 균 아침엔 서탑(西塔)과 놀고, 저녁엔 원효(元曉)와 논다 낙동강 물안개는 화왕산을…
밤섬 부군당굿의 절차와 내용밤섬 부군당굿 2 [양종승의 무속신앙 이야기 46]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양종승 박사] 밤섬 부군당굿은 매년 음력 정월 초이틀에 이루어진다. 굿을 하기 위해선 섣달 초열흘에 준비모임이 이루어진다. 이때 소…
백성의 경험방과 사대부의 집단지성 활용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24 (사맛의 길)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광옥 명예교수] 살아있는 지혜를 중히 여긴다 사맛[소통]은 현장의 소리를 잘 듣는 데서 출발 사맛은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150년 만에 베일 벗은 경복궁 중건역사, 국내 첫 번역…
오희(吳姬)ㆍ월녀(越女)의 부부 이별
다람살라, 이젠 공기청정기가 필요할 수도
토박이말로 아름다운 누리를 꿈꾸는 책 나와
[화보] 창녕 화왕산 용선대가 있는 관룡사(觀龍寺…
‘국악’ 대신 우리음악에 걸맞은 이름을 찾자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입타령(口音)이 많은 경기 놀량[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430]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 이야기 한 답교놀이는 다리[脚]로…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토박이말 맛보기1]-36 결곡하…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말 토…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지난 닷날부터 비가 왔고 엿날 제가 살고 있는 고장…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윤동주 사랑 우에노 미야코 시인,…[맛있는 일본 이야기 498]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대구오페라하우스, ‘디·오페라 콘서트…
섬네일
구례군, '비보이 한국의 멋을 그리다' 공…
섬네일
남이섬에서 즐기는 전세계 예술가들의…
섬네일
피아니스트 조윤성의 '재즈, 한국 팝을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