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요 가운데 <농부가>가 있지요. 노랫말은 부르는 이에 따라 다양한데 “어~~화 농부님 서마지기 논빼미가 반달만큼 남았네. 니가 무슨 반달이야 초생달이 반달이로다”라는 노래는 우리에게 익숙합니다. 아마도 이 <농부가>를 불렀던 이는 수령이나 양반들에게 다 빼앗기고 논이 반달만큼 남았었나 봅니다. 얼마나 착취를 당했으면 농사지을 땅이 반달만큼 남았는지 기가 막힐 일이겠지만 그래도 농부는 노래 한 토막으로 마음을 달랩니다.
그런가 하면 이런 노랫말도 있습니다. “어화~어화 여어루 상~사~듸이여 우리남원 사판이다 어이하여 사판인고 부귀와 임금은 농판이요 장천태수는 두판이요. 육방관속은 먹을판 났으니 우리 백성들 죽을판이로다.” 여기서 ‘사판’이란 死板, 곧 ‘죽을 판국’을 말합니다. 흔히 “이판사판이다”라고 할 때 쓰는 말이지요. 또 ‘농판’은 ‘바보판’을 이르는 전라도 사투리입니다. 벼슬아치들이 가렴주구(苛斂誅求)에 혈안이 되어 있으니, 백성이 ‘살 판’이 아나라 ‘죽을 판’이 되는 것이겠지요.
<농부가>는 이어집니다. “어화~어화 여어루 상~사~듸이여 여보소 농부님 말 듣소 어화 농부들 말 들어 고대광실을 부러말소 오막살이 단칸이라도 태평성대가 제일이라네.” 농부는 비록 단칸 오막살이에 살망정 태평성대만 되면 고대광실을 부러워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백성들은 연이은 흉년과 벼슬아치들의 횡포, 왜구의 노략질에 극도로 피폐한 삶을 살아야 했습니다. 그렇지만 슬픔에 빠져 있지 않고 스스로 노래를 지어 관에 찬 현실을 극복하며 살아갔던 것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김영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 하나를 나무틀에 매단 특종 (0) | 2021.09.06 |
---|---|
단소와의 병조가 아름다운 국악기 양금 (0) | 2021.09.05 |
돌로 만든 악기, 편경을 아십니까? (0) | 2021.09.03 |
취타대를 화려하게 하는 운라 (0) | 2021.09.02 |
기생의 가냘픈 기다림을 노래한 가곡 <바람은>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