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대통령장 10

(얼레빗 제5004호) 오늘은 이완용 처단한 이재명 의사 순국한 날

114년 전 오늘(1910년 9월 30일)은 이완용을 처단한 이재명 의사가 사형집행으로 순국한 날입니다. 일제의 침략 괴수들보다 같은 겨레로서 왜적에게 나라를 파는데 앞장섰던 매국노들을 먼저 처단하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지름길이라 생각한 이재명 의사는 이완용을 비롯한 을사오적신을 죽이기로 작정했습니다. 이 의사는 이 오적신들이 명동성당에서 벨기에 황제 추도식에 참석한다는 소식을 듣고 1909년 12월 22일 낮 11시 30분 무렵 성당 문밖에서 군밤장수로 변장하고 기다리다가 매국노 이완용이 인력거를 타고 앞으로 지나갈 때 칼을 들고 이완용에게 달려들었습니다. ▲ 매국노 이완용을 칼로 찌른 이재명 의사(국가보훈부 제공) 이재명 의사는 이완용의 허리를 찌르고 이완용을 타고 앉아 어깨 등을 사정없이 찔렀지요...

(얼레빗 제4814호) 이동녕 선생,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초대의장 돼

“오로지 뭉치면 살고 길이 열릴 것이요, 흩어지면 멸망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이는 1919년, 임시의정원 초대 의장으로 상해임시정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면서 나라 밖 독립운동을 이끄신 이동녕 선생이 하신 말씀입니다. 선생은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초대 의장에 선출되어 첫 회의를 주재하면서 나라 이름을 ‘대한민국’으로 결정하고 이어 정부의 관제와 국무총리 그리고 각 구성원을 뽑았습니다. 또 헌법으로 을 제정ㆍ통과시켰으며, 임시의정원 의장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나라 안팎에 선포함으로써 한국 역사상 첫 민주공화제 정부 수립을 이끌었지요. ▲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초대 의장으로 상해임시정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던 이동녕 선생 선생은 이후로도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고난을 함께하며 나라 밖 ..

(얼레빗 4500호) 나석주 의사, 동척회사에 폭탄 던지고 순국

1926년 12월 28일 나석주 의사는 조선 수탈의 앞잡이였던 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을 던지고 왜놈 직원들과 일경 등에게 총을 쏘아 죽인 뒤 일제 경찰 4~5명이 쫓아오자 발걸음을 멈춥니다. 그리고는 “우리 2천만 민중아. 나는 조국의 자유를 위하여 투쟁하였다. 2천만 민중아. 분투하여 쉬지 말아라.” 그리고 가지고 있던 권총으로 자신의 가슴에 세 방을 쏘았습니다. 병원에 실려 간 나석주 의사는 4시간 만에 순국합니다. ▲ 나석주 의사 의거에 관한 기사가 실린 동아일보 1927년 1월 13일 기사 앞장서서 조선의 경제적 침략에 큰 역할을 했던 동양척식회사와 식산은행이었습니다. 상해에서 김구 선생의 주선으로 의열단에 가입한 나석주 의사는 동척회사의 침탈과 일본인 이주민들이 농토를 계속 잠식 강점..

(얼레빗 4391호) 훈민정음을 한글이라 부르게 한 주시경 선생

“길고 긴 나의 학문의 바다 여정에서 직접 간접으로 나의 나아갈 길을 지도해 주신 스승이 적지 아니하였지마는, 그중에서 나에게 결정적 방향을 지시하였고, 따라 나의 추모의 정한을 가장 많이 자아내는 스승님은 조선 청년이 누구든지 다 잘 아는 근대 조선어학 최대의 공로자인 한힌샘 주시경 씨이다. (가운데 줄임) 오늘날 같으면 조선어 선생도 여기저기서 구할 수 있지마는 그 당시에는 주 선생 한 분뿐이었다.” 위는 잡지 《조광》 1936년 1월호에 실린 외솔 최현배 선생의 "조선어의 은인 주시경 선생"이란 글 일부분입니다. ▲ 주시경 선생(1876~1914)과 선생이 1914년 펴낸 《말의 소리》, 독립기념관 제공 평생 배달말(우리말)을 올곧게 사랑하고 실천하고 가르치신 한힌샘 주시경 선생(1876~1914)..

(얼레빗 4276호) 오늘은 ‘임정 수호자’ 이동녕 선생 태어난 날

151년 전 오늘(2월 17일)은 독립운동가면서 ‘임정의 수호자’란 별명이 붙은 이동녕(李東寧) 선생이 태어나 날입니다. 선생은 1919년 3․1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상해로 건너가 임시의정원의 초대 의장을 맡아 임시정부 수립의 산파역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통합 임시정부의 내무총장에 이어..

(얼레빗 4265호)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 선생

85년 전 오늘(1월 31일)은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李東輝) 선생이 심한 독감으로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선생은 젊었을 때 아버지의 주선으로 함남 단천군수의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통인(通引)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통인 시절 군수가 자신의 생일에 어린 기생에게..

(얼레빗 4253호) 편강렬 의사, ‘동경에 조선인 총독을 두겠다’

91년 전인 1929년 오늘(1월 16일)은 독립운동가 편강렬(片康烈) 의사가 순국한 날입니다. 편강렬 의사는 1907년 8월 군대가 해산당하고 전국적으로 의병이 일어나자, 16살의 어린 나이에 직접 의병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때 이강년(李康年) 의병장을 찾아가 군사를 모집하는 소모장으로 발탁되..

(얼레빗 4200호) 일본군이 두려워한 평민의병장 신돌석

141년 전(1878년) 11월 3일은 의병대장 신돌석 선생이 태어난 날이지요. 신돌석 선생은 대한제국 말기의 평민출신 항일 의병장으로, 을미사변과 을사늑약 이후 경상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준 활약을 하였습니다. 선생은 19살의 나이로 동지들을 규합하여 고향에서 의병..

(얼레빗 4172호) 97년 전 오늘 애꾸눈 신규식 독립지사 숨져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13도 유생들이 조약 철회를 상소하고, 장지연은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 放聲大哭)’을 썼으며, 참정ㆍ외무대신을 지낸 민영환ㆍ원임의정대신 조병세ㆍ 이조참판을 지낸 홍만식 등은 자결했지요. 이렇게 민심이 가마솥 끓듯 펄펄 끓을 때..

(얼레빗 4068호) 한국 독립을 위해 싸운 영국 언론인 베델

한국문화편지 4068호 (2019년 05월 01일 발행) 한국 독립을 위해 싸운 영국 언론인 베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68][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10년 전 오늘은 “나는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민족을 구하라.”는 유언을 남긴 어네스트 토마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