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66

(얼레빗 4088호) 임진왜란 때 왜구를 추격하는데 썼던 중완구

한국문화편지 4088호 (2019년 05월 29일 발행) 임진왜란 때 왜구를 추격하는데 썼던 중완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88][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남 진주 국립진주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858호 <중완구(中碗口)>란 화포 하나가 있습니다. 이 중완구 약실 표면에는 오목새김(음각)으로 ‘..

(얼레빗 3966호) 영추문 열려, 세종철학 빛낼 문화거리로

한국문화편지 3966호 (2018년 12월 10일 발행) 영추문 열려, 세종철학 빛낼 문화거리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66][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 12월 6일엔 꽁꽁 닫혀있던 경복궁 서문 곧 영추문(迎秋門)이 활짝 열렸습니다. 영추문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나 중인들이 궁궐에 출입하기 위..

(얼레빗 3960호) 한 많은 경희궁, 원래 경덕궁이었다

한국문화편지 3960호 (2018년 11월 30일 발행) 한 많은 경희궁, 원래 경덕궁이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6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태종 5년에 지은 창덕궁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렸는데 광해군 때 복구는 하였지만, 광해군은 창덕궁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일부 풍수지리가의 말..

11월 27일 - 임진왜란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임진․정유재란의 만행인 교토 코무덤이 있는 한 임진왜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임진왜란은 누구나 알다시피 1592년부터 1598년까지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명에 따라 왜군들이 조선 땅을 짓밟은 사건입니다. 그 임진왜란이 끝나게 되는 계기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이순신의 연전연..

(얼레빗 3951호) 진주성 싸움엔 논개, 평양성 싸움엔 계월향

한국문화편지 3951호 (2018년 11월 19일 발행) 진주성 싸움엔 논개, 평양성 싸움엔 계월향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51][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평양 의열사(義烈祠)라 함은 세인이 다 아는 바와 가치 임진란에 평양 의기(義妓)로 유명한 계월향(桂月香)을 봉사(奉祀)하는 곳인데 을미년(..

11월 14일 - 진주성싸움 때 날틀이 날아다녔습니다

임진왜란의 3대 대첩 가운데 하나인 진주대첩에는 '날틀'이 활약했다고 합니다. 날틀은 한자말로 비거(飛車)라고 하여 하늘을 나는 차, 요즘말로 비행기 같은 것입니다. 일본 쪽 역사서인 ≪왜사기(倭史記)≫에 전라도 김제의 정평구라는 사람이 비거를 발명하여 진주성 전투에서 썼는데 ..

10월 30일 - 율곡의 <성학집요>는 무엇에 관한 책일까요

이이(李珥, 호는 율곡 1536~1584)는 어머니가 사임당 신 씨이며, 호조·이조·형조·병조판서를 지낸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입니다. 선조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데 필요한 시무육조를 지어 바치고, 왜적에 침입을 대비하도록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 등 개혁안을 주장했고, 동인·서..

(얼레빗 3924호) 임란 때 백성의 처참함 담긴 《오희문 쇄미록》

한국문화편지 3924호 (2018년 10월 11일 발행) 임란 때 백성의 처참함 담긴 《오희문 쇄미록》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24][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진주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1096호 《오희문 쇄미록(吳希文 ?尾錄)》이란 책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 중기 학자 오희문(1539∼..

(얼레빗 3917호) 왜군 포로가 된 백성에게 내린 한글교서

한국문화편지 3917호 (2018년 10월 02일 발행) 왜군 포로가 된 백성에게 내린 한글교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7][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부산시립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951호 “선조국문유서(宣祖國文諭書)”가 있습니다. 이 “선조국문유서”는 임진왜란 때인 1593년(선조 26) 선조가 피..

9월 27일 - 동물원과 벚꽃을 걷어낸 창경궁을 찾아갑니다

“창경궁(昌慶宮)을 낙성(落成)하였다. 육승지(六承旨)에게 명하여 수리도감(修理都監)의 당상(堂上)과 낭청(郎廳)에게 음식을 대접하도록 하고, 이어 홍문관(弘文館) 관원도 잔치에 참여하도록 명하였으며, 이날 장인(匠人)과 군인(軍人)들에게도 음식을 먹였다.” &lt;성종실록&gt; 170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