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285. 남녀교제의 매개성전인 과자점의 번창

튼씩이 2016. 5. 11. 19:13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5. 11.



“조선사람의 상업이 해마다 조잔하야가는 이판에도 유독 과자점만은 달달이 번창하야 팔이기도 잘하고 따러서 수효도 작구 늘어간다는데 (중간 줄임) 근래에 학생들은 공부의 눈보다 연애의 눈이 먼저 띄운 새음인지 소학생까지도 그저 사랑-사랑-하고 남녀학생간에 편지질을 하고 서로 추측하며 과자봉지로 폐백을 삼는다. (중간 줄임) 공부야 잘 되던지 못 되던지 학생의 풍기가 문란하거나 말거나 연애폐물의 용달소-남녀교제의 매개성전(媒介聖殿)인 과자점은 작구 번창하면 그만이겟지.”

위는 일제강점기 잡지 《별건곤》 16-17호(1928년 12월01일)에 나오는 “신유행!(新流行!) 괴유행!(怪流行!)”이란 기사 일부입니다. 당시 조선의 경기가 아주 안 좋은 때인데도 유독 과자점만은 다달이 번창하는데 그 까닭이 학생들의 각 학교의 남녀 학생 수가 늘어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밥 대신 과자를 먹어서가 아니라 소학생까지도 “사랑-사랑”하고 남녀 학생들 사이에 편지질을 하고 만나기 위해 과자봉지를 혼인 때 폐백 하듯이 한다는 것이지요.‘

요릿집의 번창은 기생 덕분이지만 과자점의 번창은 남녀학생의 연애 덕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과자점은 연애 폐물(선사하는 물건)의 용달소(물건을 배달하는 곳)며 남녀 교제를 매개하는 성전이라고까지 표현합니다. 당시 학교를 다니는 것은 지주계층 같은 부유한 집안 아이들만 가능했기에 설령 과자점이 번창하고 남녀 학생의 교제가 유행처럼 번졌다 해도 그것은 일부의 풍토일 텐데 고장된 측면이 없지 않습니다. 대다수 백성은 일제의 수탈에 굶어죽을 지경이었으니까 말입니다..

-------------------------------------------------------
< 일본이야기 349 >

5월 15일은 교토 아오이마츠리날



《가모신사유래기》교토의 3대 마츠리라고 하면 5월 15일 아오이마츠리, 7월17일 기온마츠리, 10월 22일 지다이마츠리를 꼽는다. 초록이 눈부신 5월 15일의 아오이마츠리(葵祭)는 고대 한반도와 관련이 있는 하타씨 일족과 관계가 깊은 가모씨(賀茂氏)와 조정(朝廷)의 행사로 당시 이를 보러 오는 사람들의 주류는 귀족들이라 귀족 마츠리라고도 불렸으며 한편으로는 가모신사의 마츠리라해서 가모마츠리(賀茂祭)로도 불렀다.

《가모신사유래기》에 기록된 아오이마츠리 유래를 보면 6세기 무렵 긴메이왕 시절에 일본 전역에 풍수해가 심각하여 점쟁이에게 점을 쳐보니 가모대신(賀茂大神)이 노한 것으로 나왔다. 점괘가 나오면 해결 방법도 나오는 법으로 점쟁이인 우라베(卜部伊吉若日子)의 해결 방법은 튼실한 말을 골라 방울을 잔뜩 달고 기수는 얼굴에 동물 가면을 쓰고 가모신사 주변을 돌면서 성대한 제사(마츠리)의식을 행하면 풍수해를 잠재울 수 있다고 해서 시작되었다.

일본의 마츠리는 대부분이 고대에 기원을 둔 것으로 풍수재해 예방, 전염병 확산 금지, 국태민안, 풍년 등의 기원을 담고 있으며 아오이마츠리 역시 풍수재해 예방 기원으로 시작되었다. 1693년까지는 가모마츠리(賀茂祭)로 불리다가 아오이마츠리(葵茂祭)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는데 아오이란 하트모양의 콩잎 같은 풀 잎사귀가 행렬에 참여하는 우마차 장식에 쓰였다고 해서 붙이게 된 이름이다. 지금도 행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머리장식에 빠지지 않고 푸른 아오이 잎새가 쓰인다.

현재 아오이마츠리에서는 사이오다이 행렬이 가장 화려하고 볼만한 행렬로 사이오다이란 제사를 관장하던 사이오우를 대신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초기에는 이세신궁이나 가모신사에 상주하던 인물을 가리킨다. 이들은 주로 황실가의 공주 가운데에서 뽑혔다. 어수선하던 19세기 막부 말부터 태평양전쟁이 한참이던 시절엔 아오이마츠리가 중단되었으나 1956년부터 다시 시작되어 사이오다이의 화려한 기모노 의상은 마츠리 구경꾼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8세기 전후 왕조시대의 화려한 의상을 입은 황족과 귀족 행렬의 우아함을 보려는 사람들로 마츠리 행렬이 시작되는 교토 어소(御所) 앞마당에는 발 디딜 틈이 없이 사람들이 모여드는데 이곳 말고도 가미가모신사(上賀茂神社)까지 약 8킬로미터 구간에서는 이 행렬을 볼 수 있기에 전국에서 몰려온 사람들로 입추의 여지가 없을 정도이다.

아오이마츠리 참여자는 고대의 화려한 의상을 입은 출연자 500명, 말 36마리, 소 4마리 등으로 그 행렬은 700미터 정도로 이어진다. 그러나 악사들도 함께 참여하는 7월의 기온마츠리와는 달리 단조로운 가장행렬뿐이라 재미는 덜 하다.

하지만, 5월15일의 아오이마츠리, 7월 17일의 기온마츠리, 10월 22일의 시대마츠리는 청수사나 금각사 등의 외적인 문화유산 못지않은 일본인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마츠리임으로 이 무렵 교토를 방문할 기회가 있는 사람들은 이때를 놓치지 말고 좋은 문화답사도 겸하면 의미 있을 일이다. 마츠리 구경은 5월 15일 오전 10시 30분 교토 시내 어소(御所,에전 일왕이 살았던 곳)에서 행렬이 출발하여 오후 3시 30분 가미가모신사(上賀茂神社)에 이르는 구간에서 행렬을 볼 수 있다.


* 일본한자는 구자체로 썼습니다.

.

.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59yoon@hanmail.net)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3-1. 영진빌딩 703호
koya.egreennews.com, pine99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