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머리 앤(2, 처녀시절) - 루시 모드 몽고메리 열여섯살 앤은 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머릴러를 혼자 두고 떠날 수 없어 미래를 포기하고 애번리에 남아 선생으로서의 첫 사회생활을 시작한다. 이를 계기로 길버트와도 화해하고, 쌍둥이 데이비와 도러를 새 식구로 맞는 등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애번리에서의..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5.15
빨강머리 앤(1, 만남) - 루시 모드 몽고메리 11살의 고아 앤이 그린게이블즈의 매슈와 머릴러의 집에 오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남자아이를 원했으나 착오로 인해 오게된 앤은 처음부터 호감인 매슈와은 달리 머릴러로 인해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타고 난 붙임성과 쾌활함으로 애번리의 귀염둥이로 성장하게 된다. 평생..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5.11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2005년 기준으로 10세 미만의 아동이 5초에 1명씩 굶어 죽어가고 있으며, 비타민A 부족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사람이 3분에 1명 꼴이다. 그리고 세계 인구의 7분의 1에 이르는 8억 5천만명이 심각한 만성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는데, 이 모든 문제의 이유가 식량이 부족해서가 아니고 자연재해, ..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5.06
3분 고전 - 박재희 박재희 교수가 라디오를 통해 들려주던 이야기들을 엮은 책이다. 옛 글들이 현 시대에도 적용되는 것을 보면 세상 돌아가는 것은 시대를 불문하고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그 무엇인가가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다. 온고지신이라는 말이 있듯이 고전을 통해 현재의 나를 반성하고 미래를 준..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5.04
바보 빅터 - 호아킴 데 포사다, 레이먼드 조 국제멘사협회 회장이 된 빅터와 동화작가가 된 로라가 타인의 시선과 사회의 편견으로 인해 힘겹게 보낸 시절을 통해 자신에 믿음과 희망이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두 사람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한 가지는 주위의 시선으로 인해 좌절하고 무너져가는 ..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27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 고도원 살면서 가장 듣고 싶어하는 말이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이지만 실제로 가장 하기 힘든 말이 아닌가 생각한다. 작가가 일상에서 느끼는 감사와 사랑에 대한 글이 마음에 와 닿지만 실생활에 적용하기 힘든 것이 세상사라는 생각이 든다. 서문을 대신하는 글 인생은 여행이다. 여행은 떠..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26
굿바이 삼성 - 김상봉 외 다수 2%도 안되는 지분을 가지고 삼성그룹 전체를 좌지우지하는 이건희일가의 삼성공화국, 삼성이라는 일개 그룹을 넘어 대한민국을 휘청거리게 만드는 민주사회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어나서는 절대로 안 는 일을 해내는 삼성을 어떻게 해체시켜야 할 것인지를 적었다. 노조를 인정하지 않..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24
희망을 여행하라 - 이매진피스, 임영신, 이혜영 공저 공정여행이란 우리가 여행에서 쓰는 돈이 그 지역과 공동체의 사람들에게 직접 전달되는 여행, 우리의 여행을 통해 숲이 지켜지고, 사라져가는 동물들이 살아나는 여행,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경험하는 여행, 여행하는 이와 여행자를 맞이하는 이가 서로를 성장하게 하는 여행, 쓰고 ..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12
청소년을 위한 연암 박지원 소설집 - 이가원, 허경진 옮김 제1장에서는 방경각외전에 실린 마장전, 예덕선생전, 민옹전, 양반전, 김신선전, 광문자전, 우상전 등 연암이 18세부터 30세때까지 지은 것을, 제2장에서는 열하일기에 있는 호질과 허생전을, 제3장에서는 57세 때 지은 열녀함양박씨전을 실었다. 방경각외전에서는 숨어 사는 인물들의 외로..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04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 - 일연 지음, 김헤경 엮어 옮김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때 보각국사 일연이 쓴 역사책이다. 일연은 청년 시절부터 이 책의 저술을 목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원고 집필은 나이 일흔이 넘어서 시작, 여든네 살로 죽을 때까지 주로 만년에 이루어졌다. 정확히 편찬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 1281년에 완성된 것으로.. 사진이 있는 이야기/책을 읽자 2011.04.03